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경리의 『토지』와 모빌리티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이행 (Mobility in Park Kyongni’s Toji —The Transition from Pre-modern to Moder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8
41P 미리보기
박경리의 『토지』와 모빌리티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이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73호 / 365 ~ 405페이지
    · 저자명 : FU RONG

    초록

    본 연구는 소설 『토지』에 등장하는 교통 테크놀로지인 마차, 기차, 자동차가 인물들의 계급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가 공간적 배경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연구는 인물들의 이동 과정과 모빌리티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소설 속에서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이 함께 마차를 탑승하는 장면이 신분제의 점진적 소멸 과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마차가 신분제를 기반으로 한 전근대적 이동 방식에서 근대적 이동 방식으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교통 기술로 해석되었다. 특히 작품에서 서희와 길상이의 마차 동승 및 마차 전복 사건이 양반 계층과 하인 계층의 결합을 가능하게 만든 전환점이자, 신분 제도의 파괴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면임을 밝혔다. 한편, 유인실과 오가타 지로가 마차 안과 밖에 위치하는 공간적 배치는 두 사람이 식민지 상황에서 결코 평등한 관계로 존재할 수 없다는 현실을 상징하며, 마차는 궁극적으로 그들의 비극적 이별과 내면의 고통을 극적으로 표현하는 서사적 장치로 기능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산업화와 근대적인 문명을 상징하는 기차가 『토지』에서 어떻게 재현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조준구와 김두수가 경부선 열차에서 해후하는 장면은 일본의 식민 통치와 폭력을 상징하며, 조찬하가 식민지 현실에서 억압과 무력감 속에 놓인 사람들을 보고 “삶의 부재”를 느끼는 내면 묘사와 함께 일본의 억압적인 통치 방식을 고발하는 중요한 장면이다. 기차는 근대화와 함께 등장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서 사회적 이동과 변화를 상징하지만, 동시에 신분과 차별의 문제를 여실히 드러내는 공간으로도 기능하며, 이는 양현과 영광의 기차 여행과 환국과 양소림의 기차 탑승의 차이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경리는 기차를 통해 근대적 교통 테크놀로지의 이면에 숨겨진 사회적 불평등과 모순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4장에서는 소설 『토지』에서 근대 후기의 자동차 테크놀로지가 권력과 통제의 도구로 재현되며, 이를 통해 조용하의 지배력과 타인에 대한 배제, 구속된 승객으로서의 명희, 그리고 소유물로서의 운전수의 역할이 부각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홍이가 일본에서 운전 기술을 배우며 겪은 차별은 식민지 사회의 불균형한 권력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이며, 김두수와의 관계에서 평등한 동업자가 아닌 운영자로서 이익을 나눠주는 방식을 선택한 것은 식민지 지배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가는 이러한 재현을 통해 근대 교통 테크놀로지의 젠더화와 권력 구조를 비판적으로 탐구하며, 자동차가 지배와 권력의 상징으로 기능하는 양상을 드러낸다는 결론을 내렸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how transportation technologies such as horse-drawn carriages, trains, and automobiles are portrayed differently based on the characters’ class and gender in the novel Toji.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patial background, this research offers a new perspective by closely examining the characters’ movements and the significance of mobility.
    In Chapter 2, the study reveals that scenes depicting various characters from different social classes riding together in a carriage symbolically represent the gradual dissolution of the class system. The carriage is interpreted as a transportation technology symbolizing the transition from pre-modern to modern modes of mobility shaped by class. The scene where Seohee and Gil-sang share a carriage, which then overturns, marks a turning point that enables the union of the noble and servant classes, representing the destruction of the class system. Conversely, the spatial positioning of Yoo In-sil and Ogata Jiro inside and outside the carriage respectively, symbolizes the reality that they can never exist as equals in a colonial context. Ultimately, the carriage functions as a narrative device that dramatically expresses their tragic separation and internal anguish.
    Chapter 3 examines how the train, as a symbol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 civilization, is represented in Toji. The encounter between Jojungu and Kim Dusu on the Gyeongbu Line train symbolizes Japan’s colonial rule and violence. Meanwhile, the inner conflict experienced by Chanha, who feels a “loss of life” as he witnesses the oppression and powerlessness of people in the colonial reality, is a significant scene that criticizes Japan’s oppressive governance. The train, as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introduced with modernization, symbolizes social mobility and change, but it also serves as a space that clearly exposes issues of status and discrimination. This is evident through the contrasting train experiences of Yanghyeon and Yeong-gwang, compared to Hwanguk and Yangsolim. Park Kyongni critically examines the social inequalities and contradictions hidden beneath modern transportation technologies in her depiction of the train.
    In Chapter 4, the focus shifts to how late modern automotive technology is portrayed as a tool of power and control in Toji. This chapter explores the dynamics of Jojungha’s dominance, the exclusion of other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Myung-hee as a confined passenger and the driver as mere property. Hong-i’s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while learning driving skills in Japan serves as a case highlighting the unequal power structures in colonial society. Furthermore, his decision to share profits as an operator, rather than becoming an equal partner with Kim Dusu, symbolizes his determination to overcome the colonial reality. The author concludes that through such representations, Park Kyongni critically explores the gendered nature and power dynamics of modern transportation technologies, revealing how automobiles function as symbols of dominance and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