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빌리티로 본 근현대 도시공간 제주의 인문지형 변동 (Jeju’s Humanistic Topopgraphy Change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rough Mobili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4
39P 미리보기
모빌리티로 본 근현대 도시공간 제주의 인문지형 변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도시인문학연구 / 16권 / 1호 / 259 ~ 297페이지
    · 저자명 : 김치완

    초록

    팬데믹 상황에서 ‘살아남은 우리’는 ‘이동의 제한’에 한정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근대국민/민족국가 경계가 구축되던 일제강점기 전후와 정부 수립 전후, 신이주 시기 모빌리티를 통해 근현대 도시공간 제주의 인문지형 변동을 살펴보았다. 제주는 ‘이동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이동의 실천’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공간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가진다. 특히, 외부적 요인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수록 오히려 제주발 이동이 촉진되며, 이동이 활성화될수록 고립성이 강화된다는 것은 제주 모빌리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는 제주가 동아시아 해역에서 다시 활발한 이동의 주체로 자리매김한 시기다. 그 결과 오사카 이쿠노구에는 ‘작은 제주’가 만들어졌다. 그리고 이주자의 채무의식과 보상심리, 귀환의식 등은 출신지 마을과의 귀속성을 강화하였다. 정부 수립 전후 제주는 귀환자와 재류일본인 송환으로 대이동을 경험했다. 이러한 대이동은 제주 인문지형을 새로 출범하는 정부에 대한 치열한 실천의 장소로 바꾸어 놓았다. 이러한 변동은 제주43과 한국전쟁까지 지속되었다. 신이주 시기 제주는 현재 재일제주인 사회가 겪고 있는 귀속성과 결속력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특히,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 읍면지역의 노동력을 충당하고 있는 미등록 외국인 문제가 대표적이다. 모빌리티로 본 제주의 인문지형 변동에서 특징은 ‘고립’이 아닌 ‘지연’이 제주행 이동을 활성화하는 콘텐츠가 된다는 점이다. 이에 유의하여 재일제주인의 귀환과 미등록 외국인 이동의 문제를 해결할 때 제주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post-pandemic situation, less than a year old, ‘We, the Survivors,’ hold memories limited to ‘restricted mobility.’ This study examined the Humanistic Tophography changes on Jeju through the new migration period mobility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 / single-race nation boundaries including the pre- and post-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post-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Despite ‘constraints on mobility,’ Jeju Island boasts a rich history of dynamic mobility practices. Notably, periods of heightened mobility restrictions paradoxically stimulate outbound mobility from Jeju, and as mobility becomes more active, it can be observed that isolation strengthens, representing a distinctive feature of Jeju mobilit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rked a time when Jeju once again positioned itself as a key player in the mobility within the East Asian region. As a result, a ‘Little Jeju’ was formed in Osaka’s Ikuno Ward. Additionally, the sense of indebtedness, compensation and return among migrants strengthened their attribution to the village where they came from.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Jeju experienced significant population movements due to the repatriation of returnees and Japanese residents. This mass migration transformed Jeju’s Humanistic Tophography into an intense arena for the newly established government to demonstrate vigorous action. Such changes persisted in Jeju until Jeju 4.3 Incident and the Korean War. During the new migration period, Jeju experienced issues related to attribution and solidarity, similar to those faced by the contemporary Japanese resident community in Jeju. In particular, the issue of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who are filling the labor force in rural areas such as eup and myeon, etc. classified as at-risk of disappearing, is prominent. The characteristic of Jeju’s Humanistic Tophography change in terms of mobility is that ‘delay,’ not ‘isolation,’ becomes content that activates movement to Jeju. With this in mind, addressing the issues of the return of Jeju residents in Japan and the movement of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could secure Jeju’s sustain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