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도유람을 소재로 한 재담 레퍼토리의전통과 변용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1.02
47P 미리보기
팔도유람을 소재로 한 재담 레퍼토리의전통과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권 / 1 ~ 47페이지
    · 저자명 : 송미경

    초록

    본 논문에서는 팔도유람을 소재로 한 재담 레퍼토리의 전개 양상 및 그 전통과 변용의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발탈로부터 20세기 이후 민요 만담으로의 확장 및 변모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팔도유람 소재의 재담은 민속극 레퍼토리의 ‘전통-변용’ 양상을 설명하기에 매우 적절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우선 전통적인 재담 레퍼토리로 살펴본 작품은 이동안과 박해일의 발탈 재담 중 팔도유람 대목이다. 이동안 식의 재담은 팔도 각지의 대표적인 노래를 부를 만한 공연판을 자연스럽게 조성하고 탈의 형용․동작에 관객들이 주목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박해일 식의 재담은 작품 내에서의 비중 자체가 확장된 특징을 보였는데, 주고받는 대화에 팔도의 지역색 및 정보를 재치 있게 담아 전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핀잔주기’라는 특징적인 기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변용된 재담 레퍼토리로는 김원호․손원평, 장소팔․고춘자, 김영운․고춘자, 김뻑국 예술단의 민요 만담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김원호․손원평의 민요 만담 <팔도풍경>은 팔도유람 삽화 위주의 대화식 재담 장르가 처음으로 시도되었다는 데에, 장소팔․고춘자의 민요 만담은 남-여 콤비 진행 방식을 정착시켰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그리고 장소팔․고춘자의 레퍼토리는 팔도유람이라는 소재를 단순히 말놀음식 만담을 풀어내기 위한 코스로 활용하였으며, 다소 성적인 소재로 여성을 재담화 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김영운․고춘자의 민요 만담에 이르러서는 이전부터 나타났던 변화가 심화되어 팔도유람이라는 주제와 관련 없는 말놀음식 재담의 비중이 확대되었으며, 영화 <팔도강산>의 사례와 유사한 정치색의 개입도 일부 엿보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팔도유람 소재의 재담 레퍼토리를 이어가고 있는 김뻑국 예술단은 전국 순회공연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색을 한층 강화시킨 재담을 구사하고 있다.
    한편 팔도유람 소재의 재담 레퍼토리에 나타난 전통과 변용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팔도유람 소재 재담의 작품 내 비중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발탈 연희에서 여러 삽화 중 일부를 구성하였던 것이 이후 민요 만담으로 오면서는 그대로 한 편의 작품을 구성하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팔도유람이라는 단일한 소재, 민요라는 동일한 가창 양식의 수용이라는 점에서 민요 만담으로의 이행은 작품의 집약도를 한층 높인 전환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재담 연행자의 구성 방식 및 역할은 탈의 동작과 가무를 담당하는 발탈 연희자, 탈의 민요창을 이끌어 내며 서로 대화식 재담을 주고받는 어릿광대(혹은 주인)로 구성되었던 남성 2인 체제에서 역할상의 차등이 없는 2인 체제로 변화하였다. 이후에는 민요 만담에서도 남-여 콤비 체제가 보편화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여성이 보조적인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차차 남성 만담가와 대등한 입장을 차지하게 되었다. 재담의 성격 및 주된 구사 기법을 비교하여 보면, 발탈에서는 재담이 탈의 연희를 돋보이게 하고 보조하는 수단에 머물렀지만 이후 그 비중이 점차 확장되면서 ‘핀잔주기’, 삽화극 삽입, ‘○’자로 말 잇기, 빠른 속도로 말 주워섬기기 등 다양한 수법도 등장하였다. 한편 재담에 드러나는 지역색은 후대로 갈수록 약화되었지만, 김뻑국 예술단에 이르러 다시금 강화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sightseeing trip throughout Korea) and its problem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re very appropriate cases for explaining about the issue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olk drama, because there are many transfiguration from the traditional Palt'al(foot puppet performance) to gags with folk songs in the 20th century.
    At first, the works as the traditional witticisms are P'aldoyuram part in the Palt'al by Lee Dongan and Park Haeil. The purpose of the Lee's wordplay is to set up the spirited entertainment ground for the representative folk songs of Korea's eight provinces and to attract attention to the features and actions of the mask. In Park's scripts, the quantity of wordplays are increased and the distinguishing technique of scolding.
    Next, the transformed works are the gags with folk songs by the comedy duo Kim Wonho & Son Wonpyeong, Chang Sopal & Ko Chunja, Kim Yeongun & Ko Chunja and Kim Ppeokguk Art Company. It is significant that the work by Kim & Son, P'aldop'unggyŏng, was the first attempt of composing just stories about P'aldoyuram and Chang & Ko's was the first mixed duo in this genre. And the duo Chang & Ko used stories about P'aldoyuram as simple course for wordplays not the main material and expressed women as a sexual object. In Kim & Ko's, previous change deepened and wordplays had no direct relevance to the theme and title of P'aldoyuram increased. Also, there were the political undertone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movie P'aldogangsan in it. Kim Ppeokguk Art Company succeeded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nd showed wordplays strengthened local featur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nationwide tour concerts.
    Meanwhile, the aspects of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witticisms dealing with P'aldoyu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itticisms about P'aldoyuram are given more weight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than traditional Palt'al. The conversion into modern gags with folk songs raised the degree of intensive. Second, the male duo of mask performer playing the mask and singing and clown speaking to the mask and inducing that to sing in traditional Palt'al changed the male/female duo chatting each other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Third, witticisms in traditional Palt'al were supporting devices for highlighting mask's play. But in modern gags with folk songs, witticisms got importance and various techniques, such as scolding, inserting short play, following rhyme, speaking quickly like a rap song, etc., were tried. And, weakened local feature of witticisms reinforced again in the repertories by Kim Ppeokguk Art Compa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