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당대 지장보살 도상의 성립과 통일신라로의 유입 (Development of Ksitigarbha Iconography in Tang and Introduction to unified Sill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4.10
24P 미리보기
당대 지장보살 도상의 성립과 통일신라로의 유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18권 / 43 ~ 66페이지
    · 저자명 : 유대호

    초록

    당대는 성문형으로 대표되는 지장보살의 형상을 비롯하여 수인, 대좌, 지물 등지장보살과 관련된 도상이 정립되기 시작하는 시기로 중요하다. 그리고 당대에정립된 성문형 지장보살 도상은 통일신라에 유입되어 한국에서 지장보살상 조성에 시작점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승려의 모습을 한 보살이라는 독특한 도상이 어떠한 시대적, 신앙적 배경 하에서 정립되고 전파되었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당대 지장보살상의 경우 7세기 말 무렵부터 성문형의 지장보살상이 나타나기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성문형 지장보살은 십륜경에서 최초로 언급된 도상으로, 이후 밀교계 승려들에 의해 지장보살 관련 의궤들이 유통되면서 성문의 형상, 수인, 대좌, 지물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존하는 성문형 지장보살상은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한 손은시무외인을, 다른 한 손은 무릎 근처에 자연스레 올린 수인을 하는 경우, 둘째는한손 또는 양손에 보주를 쥐는 경우, 셋째는 육도윤회의 장면을 도해하는 경우이다. 성문의 형상을 비롯하여 손에 쥔 보주, 육도윤회의 장면 등은 모두 십륜경에 근거한 것으로, 성문형 지장보살상 조성은 십륜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십륜경은 지장삼부경 중 하나이며, 특히 651년 현장에 의하여 신역된 경전으로 한역 연대와 역자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경전이다. 당대 최고의고승인 현장에 의해 한역된 십륜경은 대승경전으로서 그 위치를 확고히 점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십륜경의 주 보살인 지장보살 역시 대승불교의 보살로보편화되고 예배 대상으로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십륜경에 근거한 도상들이적극 도입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통일신라의 경우 지장보살의 명칭과 관련된 직접적 기록으로 삼국유사의 두기록이 있다. 먼저 진표율사 관련 기록에서는 지장보살과 점찰경에 대한 언급이 다수 나타나며, 다음으로 오대산신앙 관련 기록에서는 오대산 오만진신과 관련하여 십륜경과 지장보살, 점찰경 등이 등장한다. 여기에서는 십륜경, 점찰경 등 지장 관련 경전을 기반으로 한 지장신앙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진표율사의 스승인 숭제 등 입당승에 의해 경전의 유입과 더불어 성문형지장보살의 도상 역시 유입되었을 것이다. 석굴암 감실 석조지장보살좌상, 보물1636호 여래상 대좌 후면의 지장보살반가상 등의 도상은 당대 성문형 지장보살의 도상과 일치하며, 『십륜경』을 비롯한 밀교계 경전과도 연관되어 경전, 도상의교류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상으로 미루어, 통일신라 지장보살은 아직 독립적인 신앙의 대상으로 정착되기보다는 부수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을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ang period is important because unique iconography of Ksitigarbha,Bodhisattva having a bald head like buddhist monk, and other featuresincluding mudra and pedestal, settled in this period. The iconography ofKsitigarbha having a bald head spreaded to unified Silla and become a startingpoint for Korean Ksitigarbha Statue m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find out how this special iconography, Bodhisattva in Buddhist monk shape, ismade and developed.
    in Tang period, Ksitigarbha in Buddhist monk shape seems to appear fromlate 7th century. The iconography of Ksitigarbha in Buddhist monk shape comefrom famous Ksitigarbha sutra, Sipryunkyeong(Daśacakrakṣitigarbha, 大乘大集地藏十輪經) for the first time. After that, esoteric buddhist monks havetranslated several Ksitigarbha sutras and ceremony books and Ksitigarbhaiconography in Buddhist monk shape had developed.
    Ksitigarbha sculptures in Buddhist monk shape divide into three types. Type1 raise one hand doing Simuoi-in(abhaya-mudra, 施無畏印) and rest the otherhand near knees. Type 2 don’t make mudras but hold Cintamani(寶珠) in onehand or both hands. Type 3 describe Yuk-do(Six ways, 六道) circulationtogether with Ksitigarbha. Those 3 types seem to be strongly related withSipryunkyeong, because Ksitigarbha in Buddhist monk shape, Cintamani andYuk-do circulation are all based on Sipryunkyeong.
    Sipryunkyeong is re-translated by Hyunjang(玄裝) in A.D. 651. its re-translationby most prestigious monk Hyunjang make Sipryunkyeong authoritativeMahayana(大乘) sutra. Ksitigarbha having a very special role in Sipryunkyeong also become popoular after Hyunjang’s re-translation and generally believedand sculpted as sacred icon.
    In unified Silla, a belief about Ksitigarbha is founded through some recordslike life of monk Jinpyo(眞表) and Buddha and Bodhisattva in Odaesan(五臺山)mountain. in those records, Ksitigarbha related sutra, Sipryunkyeong andJumchalkyeong(占察經) and Ksitigarbha’s name appear together so it can besupposed that Ksitigarbha based on Sipryunkyeong are existed in unified Silla.
    Also the unique iconography of Ksitigarbha in Buddhist monk shape aresupposed to be introduced to unified Silla with Sipryunkyeong.
    Stone seated Ksitigarbha in upper tabernacle of Seokgulam(石窟庵),Ksitigarbha relief on back-side of pedestal of Stone seated Buddha, theTreasure No. 1636. are two example of Ksitigarbha Sculptures in Buddhistmonk shape. Those Ksitigarbha’s iconography are very similar to that of Tang.
    This iconographical similarity shows an active buddhist interchange betweenTang and unified Silla. but unified Silla’s Ksitigarbha sculptures are normallysubordinated to main Buddha and don’t have main roles until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