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와 결손·보수로 본 지붕구조의 가설적 복원 (Hypothetical restoration of roof structure shown by loss and repairs of roof til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9.03
42P 미리보기
기와 결손·보수로 본 지붕구조의 가설적 복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34호 / 39 ~ 80페이지
    · 저자명 : 노윤성

    초록

    기와연구에서 기와의 수명과 교체주기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듯하다. 이 문제에 대하여 민족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경주권역의 1950년 이전 제작된 막새가 남아있는 관아건물, 향교, 서원 등 건축물 7동에 대하여 막새 위치를 표시하고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건축물의 방위와 지붕의 형태에 따라서 막새 결손·잔존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남향 건축물 기준으로 지붕형태와 관계없이 우선 북쪽의 막새가 가장 빠른 주기로 교체되었다. 다음으로 동·서·남면의 처마부 막새가 교체되었으며, 합각부 교체주기가 가장 늦어서 오래된 막새가 잔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건축물에 사용된 막새 수명은 400년 이상 잔존한 경우도 있었으며, 한 건물에 20종 이상의 암·수막새가 올려진 경우도 있었다. 또 암막새의 보존율이 수막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수막새의 결손률이 높아 건축물의 수명이 길수록 총 사용된 수막새의 양이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합각부의 막새 잔존률이 높은 이유는 연암과 내림마루, 착고에 의해 보호되었고, 또 보수 시 교체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반해 처마부 수막새는 직·간접적 동파에 의해 홍두깨흙이 유실되어 낙하로 인해 결손되는 사례가 많았다.
    건축물에서 막새의 결손과 보수는 상시 일어나는 현상이자 행위이므로, 소규모 보수는상시 행해지고, 지붕 위치별 교체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4면의 교체주기가 만날 때 대규모중수(重修)가 행해진다고 보았다. 따라서 결손과 보수의 측면에서 지붕 기와의 교체패턴을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건물지 유적 발굴조사에 응용하면, 건축물의 방향과 막새의 분포양상에따라 건물의 지붕구조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전제조건과 예외적인 상황이 있지만, 남향한 건물 기준으로 동·서·남면에 오래된 막새가 집중되고, 북쪽에 가장 늦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면, 우진각지붕일 확률이 높다. 또 동·서면에 가장 오래된 막새가 출토되고, 남면에 중간시기의 막새, 북면에 가장 늦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면, 맞배지붕일확률이 높다. 또 동·서·남면에 같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고, 그 상부에서 가장 빠른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며, 북면에서 가장 늦은 시기의 막새가 출토되면, 팔작지붕일 확률이높다고 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소비지인 건물지 유적 조사 시 막새 분포에 대한 기록문제, 그리고 막새를 편년하는데, 공반유물을 통한 하한연대 설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해 보인다.

    영어초록

    It appears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life and replacement cycle of roof tiles in roof tile research. Regarding this issue, the ethnography investigation method was used to show the location of and investigate antefix for seven buildings including government buildings, Confucian schools and lecture halls that still have antefix produced pre-1950 in the Gyeongju region.
    There were different antefix losses and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bearing of buildings and roof types. Based on buildings facing south, the antefix on the northern side were replaced the most frequently, regardless of the roof type.
    Next, the antefix on the eaves of the east, west and southern sides were replaced, and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gable part was the latest, thus having the oldest antefix.
    The life of antefix used in buildings included that of over 400 years and there were also cases in which over 20 types of female and male antefix were placed on the same building. In addition, the preservation rate of female antefix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male antefix, and the loss rate of male antefix was high, thus showing that the longer the life of the building, the more male antefix were used. Furthermore, the reason why the survival rate of antefix of the gable was high was because it was protected by soft rock, inclined floors and male roof tiles, and there was a tendency of not being replaced during repairs.
    On the contrary, male antefix on the eaves lost the filling sand due to direct and indirect freezing and rupture, thus being damaged and lost due to falling.
    Loss and repair of antefix in buildings was an ordinary phenomenon and action, and small-scale repairs occurred regularly, while the replacement cycle per roof position were different, and therefore, large-scale remodeling was presumed when the replacement cycle of all four sides coincided. Thus, the replacement pattern of roof tiles from the perspective of loss and repairs can be understood.
    By applying the above results for building remains excavation studies, it is possible to presume the roof structure of building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ode of antefix and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There are many prerequisites and exceptions, but based on buildings directed south, if the old antefix are concentrated in the east, west and southern sides, while the latest antefix is excavated from the north, then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it is a hipped roof. Also, if the oldest antefix is excavated in the east and western sides and antefix of medium periods is found in the south and the latest antefix is excavated in the north,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it being a gable roof. Also, if antefix from the same period is excavated in the east, west and southern sides and antefix from the earliest period is excavated on top of it, while the latest antefix is excavated from the north,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it being a hipped and gabled roof.
    Based on the above contents, it appear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records issues on antefix distribution during building remains studies, which is the consuming site, and to set a floor era through associated relics in chronological recording of antefix.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