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작업 단계로 본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과 원리 (The Principal and Process of Forming Letter in Hunminjeongeum as a Step Approach)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3.09
60P 미리보기
작업 단계로 본 훈민정음의 제자 과정과 원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글 / 301호 / 83 ~ 142페이지
    · 저자명 : 백두현

    초록

    이 논문은 제자의 과정과 제자의 원리를 보다 명료하게 인식하기 위해, 작업 단계의 관점에서 훈민정음 제자의 전 과정을 체계화한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의 이론적 기반은 주역에 근거한 역학 이론, 중국에서 유입된 성운학, 한자 분석으로부터 나온 문자학 이론 등에 있으며, 이를 배경으로 제자 작업이 시작되었다. 제자 단위의 설정 단계에서 음절 삼분법이 채택되었고, 이에 따라 초성, 중성, 종성이 제자 단위가 되었다. 이어서 제자 단계와 글자 운용법 마련 단계가 이어졌다. 제자 단계에서는 초성 제자와 중성 제자 작업이 이루어졌고 종성자는 초성자를 다시 쓰도록 하였다. 초성과 중성 제자 작업에서는 각각 음성 분석을 통한 목록 작성, 작성된 음성 목록의 체계적 분류와 기본자 결정, 제자 원리의 개발과 글자꼴 형상화, 역학 이론의 결합이라는 절차가 수행되었다. 기본자를 정하고 이 기본자를 바탕으로 다른 글자를 만들어 내는 방법은 초성과 중성에서 동일하다. 이 방법이야말로 훈민정음 창제에서 가장 빛나고 독창적인 것이다. 종성 제자 단계는 간단하다. 즉 종성을 별도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다시 쓰도록 한 것이다. 제자 단계가 완료된 후 글자 운용법 마련 단계가 이어졌다. 이 단계에서는 합용법, 합자법, 팔종성법, 한자 혼용법, 방점법 등이 결정되었다. 새로 만든 글자를 실제로 사용할 때 필요한 규정을 이 단계에서 마련한 것이다.
    그런데 실제의 제자 작업에서 본고에서 설정된 각 단계들은 계기적으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제자 작업의 전 과정에서 상호 통합적으로 작용하며 수정과 보완을 거듭하여 창제 작업을 완성해 갔을 것이다. 즉 각 단계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작용하며 수정 보완하는 지원(feedback) 관계로 봄이 적절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forming letter process of Hunminjeongeum stage by stage. A brief summary of its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 have reviewed the theoritcal base required for creating Hunminjeongeum. The Theory of Change(易學) based on the Book of Changes(JUYEOK 周易) the Chinese Phonology from China, the Graphonomy from chinse character analysis are theoretical foundation.
    The letter fomation is started based on this theory. First, Eumjeol Sambunbeob(音節三分法, Dividing a syllable into three parts) was adopted, so this three part that choseong(初聲, Initial sound), jungseong(中聲, Middle sound), jongseong(終聲, Final sound) become a unit of forming letters. Subsequently, the forming letter steps and using letter method is continued.
    In the forming letter steps, creating of choseong and jungseong are done, and jongseong was reusing choseong letters. In the forming of choseong and jungseong, the procedure that the index composition through voice analysis,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basic letter decision of voice index, development of letter forming principle and figuration of letter form, combination of the Change Theory are performed.
    The forming letter principle of choseong was the way that modeled after the vocal organs and added strokes to basic letters. The forming letter principle of jungseong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egree of ‘Seolchuk’(舌縮, tongue retract) and ‘Seongsim’(聲深, Depth of voice), and determined basic letter form according to shape of ‘Samjae’(三才, Heaven, Earth and Man). Subsequently, according to ‘Habseongbeob’ (Composition method) that compose three basic letters, it was making jungseong letters left. The method, to determine the basic letters and to make the other letters according to it, is the same way to make choseong and jungseong. Definitely, this way is the most inventive and original features. Forming step of jungseong is very simple. It is reusing choseong letters, not make jongseong letters separately.
    After forming letter step is completed, the using letter step was followed. In this step, it was decided ‘Habyongbeob’(合用法, the way of letter use together), ‘Habjabeob’(合字法, the way of combine the letters), ‘Paljongseongbeob’(八終聲法, the way of Eight Final Sounds), ‘Hanja Hon-yongbeob’(漢字 混用法, the Chinese Characters use mixed), ‘Bangjeombeob’(傍點法, Side-dot representation), and so on. The rules of specific use in the newly created letter Hunminjeongeum was arranged at this stage.
    My work of this paper is to systematize the whole process of forming letters of Hunminjeongeum for more well-defined cognizance forming letter process and principle from a working step point of view. But, the each working steps to set up in this paper would had completed not severance but coordinated interaction syntagmatically wit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in whole process, that is to say each working steps might have been feedback relationship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o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