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신라토기와 당도자로 본 나당교류 (Nadang Exchange Based on Chinese ceramics and Unification Silla Period potte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9.08
30P 미리보기
통일신라토기와 당도자로 본 나당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54권 / 149 ~ 178페이지
    · 저자명 : 이동헌

    초록

    신라와 중국 당의 대외 문물교류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도자는 당삼채가 해당한다. 문헌기록상 양국의 교류 전성기와 신라왕경 내 주요 특정지역에서 당삼채가 출토되는 양상을 통해 8세기 전반기에 사절단, 구법승, 무역상인 등의 왕래에 의해 외래 문물이 신라에 반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경주 조양동 출토 삼족호, 월성해자 출토 삼채훈, 황룡사지 인근 출토 삼채침 등의 당삼채는 기형과 제작기법상 중국 공의시 황야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유추되었다.
    삼국 통일기 신라를 대표하는 고고자료에 해당하는 인화문토기는 8세기 전반경에 중국 당 및 서역의 문화 유입 등과 연동하여 크게 유행하였다. 이러한 외래 문물의 유입은 신라의 고유 토기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재래의 통일신라 인화문토기에 나타난 중국 당의 운문과 사판화문 등 외래 문양요소와 외반구연 완, 삼족호, 타호 등 기형속성 등의 유사성을 통해서 그 영향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의 인화문이나 기형을 가진 삼채나 도자 등이 확인되지 않은 점과 신라는 삼국 통일 이전에 이미 컬러의 연유도기제작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약이 없는 회청색의 인화문토기를 고수한 점에서 통일신라는 전통적인 신라 고유의 문화를 고수하면서 조화로운 외래문화의 선택적인 수용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8세기 중엽 중국 안녹산의 난 이후에는 당삼채 제작의 퇴화기와 연동하여 통일신라의 인화문토기도 화려한 문양이 쇠퇴하고 무문양의 경향성이 강해지는 것은 중국 당대 도자변천의 국제적 연동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양국의 물질문화 교류 양상은 일정한 교역로를 통해 형성되었을 것이며, 이 유통 경로는 중국 당삼채를 통해서 상정해 볼 때 중국의 장안, 낙양, 양주 일원이 다양한 기종과 양질의 당삼채가 가장 많이 출토된 곳이기 때문에 이곳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운하와 수로, 육로 등을 통한 삼채로드의 형성 가능성을 유추하였다.

    영어초록

    The Tang sancai is a representative ceramics that enables us to examine the aspects of exchange in culture and products between Silla and Tang. From the literature records showing the peak period of exchange activities between two countries and the fact that the Tang sancai is being typically excavated from the main specific area within the royal district of Silla, it is highly likely speculated that those were brought into Silla by the delegations, Buddhist monks seeking enlightenment or trading merchants at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It was estimated that several ceramics of Tang sancai, such as a jar with three legs excavated from Choyang-dong in Gyeongju, an earthen trumpet with three colors excavated from Wolsung moat and a pillow with three colors excavated at near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were fabricated at the Hwangya kiln located in Gongyi-shi of China in terms of the shape and technique of fabrication. The earthenware with stamper design, which can be an archeological sample to represent Silla era in the unification period of three states, were greatly popular in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in line with influx of culture from both Tang dynasty in China and Western region countries. Such influxes of foreign culture and products influenced the variation of unique earthenware culture of Silla era. Moreover, it allowed us to identify an influencing relationship through the similarity in both the foreign design patterns and the shape attributes of earthenware, which were appeared in the conventional earthenware with stamper design of unified Silla, such as cloud patterns and four pieces of flower pattern of Tang in China, as well as a bowl with replicated entrance, a jar with three legs and a bottle for spitting. However, the earthenware with three colors or ceramics, which show the stamper designs and shape of Unified Silla, were not verified and Silla stuck to the earthenware with stamper design, which show gray-blue color without glaze, even though they possessed a fabrication technique of colorful earthenware using the glaze with a lead before unifying the three states. From such context, it can be understood that Unified Silla selectively accommodated the harmonious foreign culture with sticking to conventional unique culture of Sill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ostulate the international interoperability in ceramic transformation of Tang era in China from the fact that the earthenware with stamper design of Unified Silla exhibited a decrease in colorful patterns and an increase in a tendency of no pattern in line with declined period of the Tang sancai fabrication after a rebellion by An Lushan at China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Eventually, such an exchange of culture and products would be probably formed through a specific trading route and when postulating the situation through Tang sancai of China, it was speculated that the three colors ceramic route would be formed through canals, watercourses along the rivers and land routes that are closely connected to Changan, Luoyang and Yangzhou regions because many Tang sancai with various shapes and excellent quality were excavated in those pl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