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세기 전반 용주사 불화로 본 왕실 후원 (Royal Patronage of Yongjusa Temple’s Buddhist Paintings in the 19th to early 20th Centu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12
24P 미리보기
19~20세기 전반 용주사 불화로 본 왕실 후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3호 / 303 ~ 326페이지
    · 저자명 : 유경희

    초록

    화성 용주사에 대한 연구는 正祖(1752-1800)가 顯隆園의 願堂으로 건립한 사찰의 창건시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바가 크다. 1800년 정조의 승하 이후 용주사에 대한 왕실의 후원은 정조 재위 시보다 축소되어 사찰은 정조 당대 만큼의 지위를 누리지는 못했다. 그러나 장헌세자의 殿牌를 봉안하고 재를 올리는 등 왕실 원당으로서의 기능은 이어지고 있었다.
    근래 용주사에 대한 연구는 왕실의 원당으로서 뿐 아니라 용주사에서 거행되었던 수륙재를 통해 심화되고 있다. 용주사의 前身이었던 葛陽寺는 수륙도량이 개설되어 고려 광종대 우리나라 최초의 수륙재가 거행되었던 곳이다. 조선 후기 갈양사터에 창건된 용주사는 1790년 9월 29일 성대한 奉佛式과 無遮大會가 개최되었다. 이 때 거행되었던 무차대회는 성격상 수륙재였다. 19세기에도 용주사에서는 수륙재를 비롯한 각종 야외의식이 개최되었다. 이 글에서는 19-20세기 전반에 조성된 용주사 불화 – 특히 야외의식용 불화를 중심으로 왕실 후원 양상과 야외의식에 대해 조명해보았다.
    1882년에 조성된 <오여래도>, <사보살도>, <팔금강도>는 용주사 수륙재에서 현괘된 도량장엄용 불화다. 영혼을 구제하는 오여래와 중생을 도와주는 사보살, 도량을 수호하는 팔금강은 18세기 이후 수륙재와 같은 야외의식에서 도량장엄의 불화로 기능한 것으로 보인다. 용주사가 소장한 16점의 불화는 기존 도량장엄 불화와는 乘物의 불·보살이 도상화되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이 불화에 등장하는 상서롭고 독특한 동물들은 당시 궁중의 회화교본으로 추정되는 <백수도>에 묘사된 동물들과 유사하며, 이를 통해 도상적 영향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불화의 바탕 재질로 수입산 면본이 사용된 점도 기존 불화와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들은 용주사가 서울과 가까운 근기지역에 위치하고, 정조 이후에도 왕실의 지속적인 후원을 받았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1933년에 제작된 <용주사 괘불도>는 일제강점기에도 야외의식에서 괘불을 현괘하며 의식을 거행했던 용주사의 전통을 보여준다. <용주사 괘불도>는 돌아가신 왕실 인사의 극락왕생과 왕가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왕실 원당으로서의 역할이 지속되었음을 시사한다. 괘불의 화기에는 100명이 넘는 상궁들이 발기 시주자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그들이 과거와 현재에 걸쳐 왕실 인사의 명복과 안녕을 기원했던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이들 상궁 중 일부는 20세기 야외의식에서 사용된 佛幡의 시주자로도 기록되어 있어, 이 시기 용주사 불사의 주요 후원자임을 알 수 있다.
    19-20세기 전반기 용주사의 야외의식용 불화는 정조 사후에도 지속된 왕실의 후원과 깊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는 용주사가 다른 사찰과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Research on Yongjusa Temple(龍珠寺), located in Hwaseong, has largely focused on the founding period of the temple, which was established by King Jeongjo(正祖) as a royal temple. After the king's death in 1800, royal patronage for Yongjusa decreased, and the temple no longer enjoyed the same status as during Jeongjo's reign. However, the temple continued to function as a royal temple, as evidenced by the enshrinement and rituals for the spirit tablets of Crown Prince Jangheon(莊獻世子). In the 19th century, various outdoor rituals, including the Suryukjae (a water and land ritual, 水陸齋), were held at Yongjusa, with continued royal support. This paper examines the royal patronage and the outdoor rituals associated with the Buddhist paintings created at Yongjusa during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particularly those used in outdoor ceremonies.
    The Five Buddhas Painting (Oyeoraedo, 五如來圖), Four Bodhisattvas Painting (Sabosaldo, 四菩薩圖), and Eight Vajra Painting(Palgeumgangdo, 八金剛圖), created in 1882, were used as ceremonial banners at the water-land ritual(Suryukjae, 水陸齋) at Yongjusa. These paintings depict the five Buddhas who save souls, the four Bodhisattvas who assist sentient beings, and the eight Vajras who protect the ritual grounds. These artworks functioned as ceremonial adornments during outdoor rituals such as the water-land ritual, particularly after the 18th century. The iconography of these paintings features Buddhas and Bodhisattvas riding on sacred animals, whose unique and auspicious appearance closely resembles the creatures found in the Hundred Animals Painting(Baeksudo, 百獸圖), a royal painting manual of the period. Additionally, the material used for the paintings’ canvases, which appears to be imported cotton, marks a distinct departure from traditional painting materials.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the continued royal patronage after King Jeongjo’s reig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ir creation.
    The banner Painting of Yongjusa(Gwaebul, 龍珠寺 掛佛圖)produced in 1933, sheds light on how the temple continued to host outdoor ritual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Recorded as being funded by numerous court ladies, the painting was used to honor both past and present royal family members, offering prayers for their peace and well-being. The court ladies, who also contributed to the funding of the Buddhist Flags(Bulbeon, 佛幡) used in 20th-century outdoor ceremonies, were key supporters of Yongjusa's religious activities.
    Through these Buddhist paintings used in outdoor rituals, it is evident that the royal patronage of Yongjusa continued well beyond the death of King Jeongjo, illustrating the temple’s unique connection to the royal family that set it apart from other temples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