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 분석을 위한 생성문법 - 민담텍스트를 자료로 (A generative grammar for tex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1.08
14P 미리보기
텍스트 분석을 위한 생성문법 - 민담텍스트를 자료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어 연구 / 16권 / 2호 / 253 ~ 266페이지
    · 저자명 : 김진원

    초록

    본 논문의 과제는 전체 텍스트를 조망할 수 있는 거시적 관점의 분석도구(“구조적 모델 +의미적 모델”)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텍스트에 사용된 기호들의 기능과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텍스트에 담겨진 통일된 주제를 찾아 사용자들의 의식구조를 유추하는 것이다. 러시아 민담텍스트를 구조적으로, 의미적으로 다음과 같은 모델로 정리하였다:구조적 모델: <주인공 - 과제 - 수행 - 논공>의미적 모델: <미숙한 인간 - 수행 - 성숙한 인간>이러한 모델의 구축를 위해 민담구성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을 기호화하여 계열별로 분류하였고 각 계열의 기능을 나타내는 내용을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 각 범주의 내용에 따라 하위 범주화하고, 계열별로 개별 기호(예; Aa-서민인 주인공, Abe-불운한 왕자인 주인공 등)를 부여하였다. 또 각 범주들의 하위범주의 내용들을 특징화하여 분류할 수 있는 자질을 개념화하여 기호로 삼았다. 이 기호들의 계열과 범주 그리고 통합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러시아 민담텍스트의 구조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 기호의 외시적 지시(예; Abe=불운한 왕자인 주인공)로부터 이 기호가 사용된 텍스트의 구조적 모델에 적용되는 질서를 통해 기호가 가지고 있는 함축적 의미(예; 미성숙한 인간)를 파악함으로써 텍스트의 통일된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러시아 민담의 의미적 모델을 통해 파악된 텍스트의 내용은 “미성숙한 인간이 다양한 인물(조력자)들을 통해 다양한 사건들을 겪으면서 결국 성숙된 인간으로 진화되어간다”는 것이고, 주제는 몇 개의 어휘로 도식적으로 정리해보면 “성숙된 인간으로의 길”, “성숙한 인간”등이 될 수 있다. 결국 러시아인들은 민담에 자신들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았고, 그 이상적 인간이란 위 모형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덕목(예; 공손Cm1, 겸손Cm2, 성실Cm3, 용감Cm4, 신의Cm5 ...)을 가진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민담에 투영된 러시아인들의 의식에는 이러한 이상적인 인간들에 의한 이상적인 사회 건설에 대한 염원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설정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활용한 생성적 관점의 문장기술방법이 매우 유용하였으나 정교한 분석과 기술을 위하여 내용의 개념화와 기호화가 보다 광범위한 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섬세하게 이루어지고 보다 다양한 기호들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signs used in folklore are very diverse. These signs constitute syntactical construction (a syntactic model) composed of paradigma and sintagma that are structured centering around one theme. Semantic construction(a semantic model) constituted of implicated meaning of signs understood through function provided by these structure indicates the theme of the text. From construction of model and semantic analysis from this model, type of theme expressed in russian folklore text can be found, and assuming analogy of text users' epistemic structure is possible through this type.
    Basic theories used to solve this problem are concept of “constant element” by Propp and Jermslev's model of semantic function about semantic analysis of signs. Modified analysis method re-interpretating and reconstructing Propp's concept of “constant element” and model of semantic function built up through Perse, Morris, and Jermslev of Saussure's fundamental principle regarding signs were applied. To describe text with sign, sentence descriptive method of generative perspective was used.
    The reason for using folklore as a material for analyzing is that folklore is where signs, used and filtered by endless conflict and competition throughout long period of time, are preserved and also, in these signs are users' consciousness or unconsciousness reflected. Text analysis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as a basic model of not only analyzing tool for folklores, but also for various cultural text.
    The meaning understood through semantic model of Russian folklore is that “an immature person, experiencing various incidents through various helpers finally becomes a mature human being.” Organizing schematically using few words, the theme can be “road to a mature human being,” “mature human,” et cetera. To conclude Russian expressed the desire to become their ideal human model in their folklores. This ideal human is a person that possesses various moral virtue(ex; politeness Cm1, humility Cm2, sincerity Cm3, gallantry Cm4, loyalty Cm5 ...) indicated in the model above. In consciousness of Russian, reflected in folklore, exists this longing for ideal society constructed by these ideal hum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슬라브어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