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서(國書)의 형식과 전달로 본 ‘통신사외교’ (Tongshinsa Diplomacy in the Form and Delivery of the Sovereign's Messag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8.08
30P 미리보기
국서(國書)의 형식과 전달로 본 ‘통신사외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61호 / 211 ~ 240페이지
    · 저자명 : 이훈

    초록

    본 논문은 국교 재개(1607년) 이후 조선 국왕과 도쿠가와 막부(德川幕府)의 쇼군(將軍)이 주고받은 외교문서(國書)의 형식과 전달방법을 중심으로 조일 양국간 ‘통신사외교’가 서로 대등한 입장에서 이루어진 정상외교에 가까운 것이었음을 밝힌 것으로, 사대문서(事大文書)인 대중국 외교문서와 비교・검토해 본 것이다.
    검토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서의 문서형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A>라는 발신자(조선국왕)가 <B>라는 수신자(막부 쇼군) 앞으로 문서를 보내면, 다시 그 수신자 <B>가 자신의 명의로 <A>에게 회답문서를 발급하는 왕복문서의 형식을 취했다는 것이다. 또 일본측 사정에 따라 17세기 중반 도쿠가와 막부 쇼군의 외교 호칭이 ‘일본국왕’에서 ‘日本國大君’으로 변경되기는 했지만, 문서의 머리부분에 <A>와 <B>를 나란히 ‘평행’(平行)으로 기재했다는 것은, 본질적으로는 외교호칭의 문제와 상관없이 발신자와 수신자가 서로를 대등한 외교상대로 여겨 중간에 다른 누군가를 거치치 않고 직접 주고받는 ‘왕복문서’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조선국왕이 청(淸) 황제에게 보내는 주문(奏文)의 경우, 발신자로 ‘조선국왕’을 명기하되 조선국왕이 ‘臣’의 입장에서 화자(話者)가 되어 청 황제에게 보고하는 문서형식이었기 때문에, 사실상의 수신자가 청 황제라 하더라도 중국의 보고절차에 따라 조선국왕의 의사가 황제에게 ‘상달’(上達)되는 형식이었다. 이는 臣子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대중국 사대관계에서 외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국제관계를 반영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조일 양국간 ‘국서’에 보이는 발신자 및 수신자의 대등성은 당시 동아시아 국제관계에서 교린국간에 주고받던 ‘교린문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둘째는, 국서란 이렇듯 조선 국왕과 막부 쇼군이 직접 주고받는 왕복문서였기 때문에 이의 전달을 위해 통신사가 일본에 파견되었던 것이며, 에도성(江戶城)의 ‘전명의’(傳命儀)에서 통신사가 막부 쇼군에게 국서를 직접 전달하였다. 사대문서의 경우, 조선국왕의 주문(奏文)은 청의 예부(禮部)를 통해 황제에게 보고되었다. 예부의 문서양식에 따라 조선측 주문의 내용을 다시 작성하는 제본(題本)이라는 보고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조선국왕의 주문은 첨부문서로 제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명의’처럼 문서 전달만을 위한 외교의례도 필요없었다.
    셋째는, 통신사의 국서 전달을 통해 이루어지는 조일 양국의 교린관계란 조선 국왕과 막부의 쇼군이 서로 면대(面對)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서로를 대등한 외교상대로 여겨 직접 소통하는 외교시스템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사 일행이 막부로부터 회답문서를 받아올 때, 쇼군의 ‘외교 칭호’ 등 기재 내용에 의혹을 가질 경우, 통신사 일행은 일본 체류 중에 바로 막부측에 문제제기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통신사외교’를 의사전달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효율성이 높은 ‘직접 통교 루트’였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for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y diplomatic documents exchanged between the king of Joseon and the shogun of the Tokugawa shogunate after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in 1607. The paper reveals that the "Tongshinsa diplomacy"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close to "summit diplomacy," as it was conducted on an equal footing. This conclusion is based upon a review of the documents and a comparison of the diplomatic documents with China.
    The conclusion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the form of the sovereign's message was that when the sender, A, the king of Joseon, sent a document to the receiver, B, the shogun of the shogunate, B issued a return document to A in his own name.
    Also, depending upon the circumstances in Japan, the name of the head of the Tokugawa shogunate, "Shogun," changed from the "King of Japan" to the "taikun" (大君) of Japan in the mid-17th century.
    The fact that "A" and "B" were written side by side in the heading of the document means, in essence, that regardless of the diplomatic title the sender and the receiver viewed each other as equals in diplomacy and interacted with one another in person without delay.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jumun (奏文) document, the message sent by the king of Joseon to the emperor of the Qing Dynasty took the form of a document in which the king of Joseon became a speaker in the position of a vassal and reported to the emperor of the Qing Dynasty. Even though the actual recipient was the emperor of the Qing Dynasty, the king's message was delivered to the emperor in accordance with the Chinese government's reporting process.
    This was a reflec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re was no diplomacy conducted in the sadae (事大) relations with China, that is, the sino-centric schema of foreign relations.
    The equality of senders and receivers in "the sovereign's message" between Joseon and Japan is a feature of the "amicable diplomatic documents" (gyorin documents) exchanged between the two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at time.
    Second, as "the sovereign's message" consisted of round-trip documents between the king of Joseon and the shogun, the Tongshinsa envoys were sent to Japan to convey the message and deliver the documents directly to the shogun according to the diplomatic protocol for the delivery of state documents (jeonmyeongeu 傳命儀).
    In the case of sadae documents (事大文書), the message (jumun) of the King of Joseon was reported to the Emperor of Qing China via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Raebu 禮部) of the Qing Dynasty.
    As the message of the Joseon government passed through a reporting process called "jaebon" (題本), in which the document was to be rewritten according to the document form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the message of the King of Joseon was submitted as an attachment.
    Therefore, there was no need for diplomatic protocol solely for delivering documents such as the jeonmyeongeu.
    Third, the gyorin relations (good-neighbo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which were made through the delivery of "the sovereign's message" by the Tongshinsa are seen as equal diplomatic relations, even if the king of Joseon and the shogun of the shogunate did not face each other.
    Accordingly, if the members of the Tongshinsa embassy were suspicious of the shogun's "diplomatic title" and other matters when receiving the reply documents from the shogunate, they could raise a complaint to the shogunate during their stay in Japa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ongshinsa diplomacy was a highly efficient direct communication channel for inter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