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젠더로 본 한국의 중근세 관음보살상 (Gendering a Bodhisattva: Images of Avalokiteshvara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9
32P 미리보기
젠더로 본 한국의 중근세 관음보살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23권 / 323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신소연

    초록

    동아시아 불교미술에서 대자대비의 상징인 관음보살은 다양한 형태의 존상으로 재현되어 왔는데 특히자비로운 성격에 모성(母性)과 여성의 이미지가 중첩되면서 여성성이 강조된 사례가 많다. 중국의 〈송자관음〉 이나 일본의 〈마리아관음〉 등은 관음보살의 뒤바뀐 젠더를 시각적으로 잘 보여준 사례로, 이러한 관음보살의이미지는 고착화되어 근래에는 중국이나 서구에서 관음보살을 중국의 여신(女神)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한국의 관음보살상은 전통적인 동아시아 불교미술의 규범에 따라 조각, 그림, 공예품으로 제작되었지만관음보살상을 중국이나 일본처럼 젠더적 관점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관음보살이 여성으로 모습을바꾸는 『삼국유사』의 내용이나 관음보살의 전생을 여인으로 묘사한 〈안락국태자전(安樂國太子傳)〉의 내용처럼한국의 관음보살 역시 여성성과 관련이 매우 깊은 것은 사실이다. 특히 고려시대부터 십일면관음과 천수관음뿐만 아니라 수월관음(水月觀音)과 백의관음(白衣觀音)이 유행하면서 관음보살의 여성성이 강조되었다.
    고려 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당시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천의를 걸친 유희좌 자세의 수월관음상으로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에서 선재동자(善財童子)를맞이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그런데 고려시대 수월관음상에는 남성적 특징이 표현되는 동시에 낙산 관음신앙의 유행과 함께 백의관음의 이미지가 중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각적으로는 쌍죽, 달, 대나무 등이 표현된 수월관음의 모습이 남성적으로 재현되었지만 백의관음의 여성성도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 점에서 수월관음은 남성과 여성의 이중성, 모호한 젠더를 갖게 된다.
    백의관음상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진 주제로 여성적인 자태도 강조되었다. 14~15세기 백의관음상은 정병을 두 손에 받쳐 들고 있는 좌상이나 두손을 앞으로 가지런히 모은 채 정병을 들고 있는 입상의 조각으로도 제작되었다. 문헌 속의 백의관음은 백의대사(白衣大士), 백의선(白衣仙) 등으로 표현되었고 달이나 대나무 등을 함께 그리기도 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백의관음에 대해서 동시기 문인이 종교적 예경의 대상이 아닌 세속적인 여인, 미인도의 여인상과 같이 인식했다는 점에서 관음에 대한 당시의 인식이 종교적인 관점과 세속적인 관점으로 나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관음보살은 구제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관음보살의 역할은 어머니의 모성으로도 연결되었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밀교의식과 『천수경』의 확산과 함께 모성 그 자체를 상징하는 천수관음의 등장으로 관음의존격에 모성의 역할이 강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중근세 불교신앙 속에서 관음은 다양한 성정체성을 갖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각적으로재현되었지만, 한국의 관음보살상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조선시대 여성성이나 모성의 표현이 확장되어 극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Avalokiteshvara images in Korea, while adhering to traditional Buddhist artistic conventions, exhibit a different approach to gender than their Chinese counterparts, where the feminization of Avalokiteshvara is more explicitly evident. However, historical records such as Samguk Yusa 三國遺事 and The Tale of Prince Anrakkuk 安樂國太子傳, attest to the wide awareness of the femininity of Avalokiteshvara, which determined the identity, visual representation, functions, and roles of Avalokiteshvara images. While the painting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from Mount Potalaka during the Koryŏ period emphasize masculine features in the depiction of the body, they were at times conflated with the femininity that was characteristic of the White-robed Avalokiteshvara, a result of the popular Avalokiteshvara cult at Naksan. This dual visual representation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invites more careful interpretation through a gender perspective. In contrast, writings by contemporary literati portray the White-robed Avalokiteshvara as distinctly feminine and characterized by modest and serene features. Additionally, with the spread of esoteric rituals and the circulation of Thousand-hand Sutra (Ch'ŏnsugyŏng 千手經), the role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and Thousand-armed Avalokiteshvara expanded, becoming symbols of motherhood that bestowed and protected children. Avalokiteshvara images of medieval and early modern Korea embodied a range of gender identities and meanings, reaflecting the complex interplay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their religious and cultural ro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