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연희의 난지도로 본 탈성장과 젠더 (Degrowth and Gender in Jung Yeon-hee’s Nanjid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12
24P 미리보기
정연희의 난지도로 본 탈성장과 젠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103호 / 117 ~ 140페이지
    · 저자명 : 권혜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연희의 장편 소설 난지도를 탈성장과 젠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쓰레기를 줍는 동일한 노동을 하면서도 탈성장에 관한 인식과 대응이남성 인물과 여성 인물에게서 다르게 나타나기에 젠더와 연결할 필요가 있다. 남성 인물인 심정기는 성장의 전유와 능동의 나우토피아를 보여 준다. 탈성장을 인식하고 난지도 ‘내부’에서 자신만의 성장과 난지도의 의미를 수립해 나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쓰레기의 생산성을 이야기하고, 난지도를 새로운 공동체로 만들고싶어 한다. 그러나 여성을 ‘자신이 구원해야 할 대상/자신을 구원할 대상’의 이분법으로 보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난지도 사람들과 자신을 분리하면서 현실의 고통을 잊기 위한 행위를 능동적으로 반복하기에 체계 안에만 머무른다. 반면 여성인물인 은숙은 성장의 정지와 중동의 디스토피아를 보여 준다. 난지도 ‘외부’로나간 은숙은 난지도에서 스스로를 쓰레기와 동일시하는 유일한 인물이다. 이와같은 시선에서는 성장의 성과로 여겨지는 소비도 과잉 상태일 때 쓰레기가 된다.
    이때 은숙이 일차적으로 취하는 태도는 탈성장에 해당하는 무상과 증여이다. 그러나 부자 노인의 자비심을 이끌어 내는 데 실패하자 성장의 불합리성을 인지하고 죽음을 통해 성장을 정지하는 중동을 선택한다. 이는 난지도 ‘내부’에서 공동체를 만드는 것으로는 탈성장을 실천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난지도 ‘외부’에서 내부를 다시 들여다보며 경계를 흩뜨리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시각을 드러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Yeon-hee Jung’s novel, Nanjido, from theperspectives of degrowth and gender. Connecting with gender isnecessary because the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degrowth aredifferent for male and female characters, even though they perform thesame labor of picking up garbage. Jung-ki Shim, a male character,shows a nowtopia of the appropriation of growth and activity. Herecognizes degrowth and wants to establish his own growth and meaningof Nanjido from inside Nanjido. To this end, he talks about theproductivity of garbage and wants to make Nanjido a new community.
    However, he is limited by the dichotomy of seeing women assomething that he needs to save or something that will save him. Inaddition, Nanjido remains within the system because he separateshimself from the people and repeats active behaviors to forget the painof reality. The female character Eun-sook, on the other hand, representsa dystopia of stagnation of growth and middle way. Eun-sook, who hasalso gone outside Nanjido, is the only character in Nanjido whoidentifies with the garbage. From this perspective, consumption, whichis considered an achievement of growth, becomes trash when it is inexcess. Eun-sook’s primary attitudes are volunteering and donation,which are equivalent to degrowth. However, when she fails to elicitcompassion from the wealthy, she recognizes the absurdity of growth. This leaded her to choose the middle path, which is to stop growththrough death. This reveals the view that it is impossible to practicedegrowth by creating a community from the inside of Nanjido and thatit is necessary to look back inside from the outside of Nanjido anddissolve the bound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