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헌기록과 고고자료로 본 울진 성류굴 (Uljin Seongnyugul Cave reviewed on Documentary Record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3
37P 미리보기
문헌기록과 고고자료로 본 울진 성류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13호 / 154 ~ 190페이지
    · 저자명 : 심현용

    초록

    울진에는 역사적으로 성류굴, 망양정과 월송정이라는 명승지가 있다. 최근 이 성류굴에서 필자에 의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수많은 명문이 발견되었다. 특히 진흥왕이다녀가고 화랑, 승려, 병부사, 굴주, 대나마, 길사 등의 이름과 직책 및 관등이 새겨져 있어 신라의 화랑, 군제, 불교, 인명 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필자는 이 성류굴에 대해 문헌기록과 고고자료를 살펴 몇 가지 고찰을 해 보았다.
    그 결과, 성류굴을 신라의 중앙세력에 의해 7세기 말 울진에 불교가 전파되는 초전지로파악하였다. 그리고 동굴의 네 가지 명칭에 대해 장천굴 → 탱천굴 → 성류굴 → 선유굴로 변경ㆍ추가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았다. 또 성류굴의 명칭이 보천태자가 머물렀기 때문에 유래된 것으로 보았으며, 성류사와 청암사 창건도 보천태자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 진흥왕 명문 중 ‘庚辰’으로 본 견해를 수정하여 ‘庚寅’으로 재판독하였다. 그리고 570 년 진흥왕이 성류굴에 거동했을 때 설치한 잔교의 위치를 재검토하여 굴 안 5광장 못에 설치한 다리로 추정하였다. 이때 활용한 뱃사람은 굴 안 잔교를 만들 때 동원한 사람으로 해석하였다. 이는 진흥왕이 육로로 행차하여 성류산 남쪽 진입로를 따라 성류굴 1입구로 입굴한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내린 결론이다.

    영어초록

    Uljin has historically Seongnyugul Cave, Mangyangjeong Pavilion, and Wolsongjeong Pavilion, where numerous inscriptions dat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discovered. In particular, King Jinheung visits and the names and official positions of hwarang, monk, gulju, daenama are engraved, making it a valuable resource for research on Silla’s Hwarangs, Buddhist, Name.
    I have done some historical research on this cave reviewing documentary record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As a result, Seongnyugul Cave was identified as the first-area where Buddhism was spread to Uljin in the late 7th century by the central forces of Silla,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four names of the caves were changed to Jangcheongul Cave→ Tangcheongul Cave→ Seongnyugul Cave→ Seonyugul Cave or added. Seongnyugul Cave was consider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tay of Silla Crown prince Bocheon. the original view of King Jinheung inscription was retracted and re-read as Gyeongin. and the location of the pier installed when King Jinheung moved to Seongryu Cave in 570AD was reexamined and it was estimated to be a bridge installed on the 5 square pond inside the cave.
    The seafarer was interpreted as a person who mobilized when building a pier inside the cave. This is the conclusion that King Jinheung came by land route and entered along the access road south of Sungnyusan Mount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