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Public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Routes in Urban Area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1.04
10P 미리보기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 기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3호 / 121 ~ 130페이지
    · 저자명 : 박하진,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까지 우리나라 어린이보호구역은 총 16,912개소가 지정되었다. 2020년 행정안전부와 도로교통공단 통계 자료에 따르면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 교통사고 건수와 사망자 수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점차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으나 2019년 모두 증가하였다. 제도적 노력으로 한계가 있기에 공공디자인 연구를 통해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어린이들의 놀이, 커뮤니케이션, 기다림, 구매 등의 다양한 행태를 반영한 도심지역 통학로 공공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2년간 공공디자인 개선에 관한 선행연구 논문 4개를 분석하여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 특성 및 세부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추출된 요소로 최근 5년간 통학로 개선이 이루어진 충암초등학교, 파장초등학교, 동원초등학교, 행현초등학교 4개소를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발전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선행연구논문 분석을 통해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 공공디자인 특성으로 정체성 부여 및 이용자 참여를 포함하는 사회적 관계성, 보행활동과 놀이활동 및 휴식활동을 포함하는 활동의 쾌적성, 통학로 안내기능 및 보행 유도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의 편의성, 교통안전과 범죄안전 및 사고안전을 포함하는 환경의 안전성을 추출하였다.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 개선사례 분석결과 충암초등학교는 환경의 안전성, 사회적 관계성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파장초등학교와 행현초등학교는 환경의 안전성, 기능의 편의성에 특성을 나타내었다. 동원초등학교는 4개 특성을 모두 나타내었다. (결론) 이전의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가 보행의 기능을 중시하는 역할을 했다면 새롭게 개선되는 통학로는 어린이를 배려하는 다양한 특성을 포함하는 공공디자인으로 나아가고 있다. 공공디자인 특성 중 사회적 관계성은 정체성을 공유하고 서로를 이해하며 교류를 증진 시킨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나타냈다. 도심지역 초등학교 통학로 개선은 일부 디자인만으로 개선될 수 없으며 환경의 안정성, 활동의 쾌적성, 기능의 편의성, 사회적 관계성의 특성은 서로 교차점이 발생하며 각자의 특징을 드러내고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By 2020, a total of 16,912 children's protection zones in Korea have been designated.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in 2020, the number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s and deaths in child protection zones gradually decreased from 2015 to 2018, but both increased in 2019. Since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institutional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routes in urban areas through public design research. (Method)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public design in urban areas reflecting various behaviors such as children's play, communication, waiting, and purchasing, we analyzed four previous research papers on public design improvement in the last two years, and I want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elements of public design. With the extracted elements, four areas of Chungam Elementary School, Pajang Elementary School, Dongwon Elementary School, and Haenghyun Elementary School, which have improved school routes over the past five years, a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development is to be derived.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social relations including identification and user participation a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 for routes to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s, the comfort of activities including walking activities, play activities, and relaxation activities, guidance function of school routes, and induction of walking The safety of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convenience of the function including the function, traffic safety, crime safety, and accident safety was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ases of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routes in urban areas, Chungam Elementary School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afety and social relations. Pajang Elementary School and Haenghyun Elementary School showed characteristics in the safety of the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f function. Dongwon Elementary School showed all four characteristics. (Conclusions) While the former elementary school roads in the urban area played a role that emphasized the function of pedestrians, the newly improved school route is moving toward a public design that includes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that consider childre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design, social relations showed the importance in that they share identities, understand each other, and promote exchange.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routes in urban areas cannot be improved with only some designs, and the stability of the environment, the comfort of activities, the convenience of functions, and the social relations intersect each other, reveal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ng organ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