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考古資料로 본 比斯伐의 對外交流 (Exchange Pattern of Bisaboul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2.08
22P 미리보기
考古資料로 본 比斯伐의 對外交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62호 / 83 ~ 104페이지
    · 저자명 : 이주헌

    초록

    낙동강을 경계로 신라와 가야가 양립하는 상황에서 비사벌의 대외교류 양상을 창녕지역 출토 외래계유물의 검토를 통해 살펴본 결과 신라와 가야 그리고 백제와의 교류에 비사벌 세력의 역할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비사벌에 아직 창녕양식토기문화가 형성되지 않은 Ⅱ기(5세기 초)까지는 외래계유물이 주로 낙동강 중ㆍ하류일대의 일상적인 토기인 것으로 보아, 이 시기의 대외교류는 주변지역의 선진문화와 기술ㆍ정보ㆍ다양한 생활필수품 등을 입수하기 위한 교역차원에서 이루어 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방형 4주식 주거지와 연질토기의 존재는 영산강수계 출자 이주민이 비사벌지역에서 정주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지역 간의 정치적인 이해관계 보다도 선진지역의 기술과 물품 등의 입수와 관련한 경제적인 욕구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창녕양식토기문화가 형성ㆍ유통되는 Ⅳ기와 Ⅴ기(5세기 중엽부터 5세기 말까지)에는 창녕양식토기가 영남지역의 각지에서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창녕을 통한 신라의 낙동강하류와 이서지역으로의 진출이라는 군사적이고 정치적인 행보를 비사벌세력이 자신의 체제유지를 위해 역이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창녕에서 출토되는 다양한 신라식 장신구는 신라와 대가야간의 정치적인 교섭의 결과이며 비사벌 세력집단은 낙동강 이동과 이서지역을 연결하는 중계역할을 담당한 것을 의미한다.
    창녕양식토기가 소멸하는 Ⅵ기(6세기 초)가 되면 매장시설과 각종 금속제 유물의 신라화와 함께 백제지역에서 유입된 위신재도 유행한다. 이는 비사벌 지배계층이 백제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교류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영산강 수계권으로의 신라계 문물이나 다양한 기술의 전파는 비사벌세력을 창구로 하여 소가야권을 경유하는 방식을 취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송현동고분군 등에서 출토된 일본산 물품의 입수는 왜(일본)-영산강수계(백제)-소가야(아라가야)-비사벌-신라로 이어지는 대외교류의 관계망(network)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Distribution of large tombs suggests political stature of Changnyeong named as Bisaboul on Three Kingdoms period. Exchange pattern of Bisaboul with analyzing foreign artifacts from large tombs like Tombs of Gyo-dong could show us various interaction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Silla, Gaya, and Baekje.
    Until early of 5th century, the aims of exchange on Bisaboul were acquisition for technology, information,and necessaries from advanced culture, because foreign artifacts were composed of ordinary potteries and ranged from midstream to downstream of Nakdong River. It could be economic rather than political interest.
    From middle to late of 5th century, the formative period of Changnyeong potteries, it was closely ralated to maintaining society against military and political movement of Silla. Various Silla accessories excavated on Changnyeong in this period means that Bisaboul regime had acted to connect from east to west of Nakdong River through political bargaining with Silla.
    In early of 6th century, the extinction period of Changnyeong potteries, form of tombs and metal artifacts on Bisaboul had been changed to Silla style and some prestige goods had been imported from Baekje. Japanese goods excavated at Tombs of Songhyun-dong with these archaeological phenomena would imply the historical role of Bisaboul in dissemination of technology from Silla to Youngsan River societies(Baekje) and exchanging network between Silla-Bisaboul-Sogaya-Youngsan River societies(Baekje) and Wei(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