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사뱀 설화로 본 남명의 남성성 (A Study on the Tales of Nammyeong and the Sangsa Snak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3
31P 미리보기
상사뱀 설화로 본 남명의 남성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5호 / 99 ~ 129페이지
    · 저자명 : 한양하, 장시광

    초록

    이 연구에서는 남명이 등장하는 상사뱀 설화를 대상으로 하여 여성의 욕망을 대하는 남명의 태도와 관계 맺기에 따른 남명의 남성성을 살펴보았다. 여성 인물들은 신분과 혼인의 여부에 관계없이 남명을 이상적인 남성으로 인식한 반면, 남명은 자유분방한 성관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남명의 소싯적 이야기에는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는 여인을 회초리로 때려 양반의 규율과 법도를 가르치려 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를 보면 남명의 성의식은 강직함에서 호방함으로 변모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사뱀 설화는 상대를 사랑하나 사랑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죽어서 상사뱀이 되어 자신의 욕망을 상대에게 투영하는 이야기인데, 이 여성 상사뱀은 버려지거나 쫓겨나거나 원을 이루지 못한 여성 욕망의 억압이 상징화한 것이다.
    남명은 이 여인들의 원한을 푸는 과정에서 ‘알아보기’, ‘욕망 풀기’, ‘곁에 두기’, ‘기르기’의 과정을 거치면서 성적 욕망에 경계를 두지 않고 그 욕망을 마음껏 풀도록 공감해 준다. 이렇게 여성의 욕망과 관계를 맺는 남명의 태도는 R.W. 코넬의 분류에 따르면 헤게모니적 남성성에서 공모적 남성성으로 변모하는 남성성으로 볼 수 있다. 남명은 어린 시절 강직한 성관념을 보이다가 나이가 들어 유연한 성관념을 지니게 되어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차별성을 지니며, 신체 접촉을 직접적으로 하지 않고 거리두기를 하여, 자신의 성적 욕망을 직접 표현하지 않으면서 상사뱀의 욕망을 긍정한다는 면에서 공모적 남성성에 근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성의 욕망을 전면 수용하고 긍정하며 신체적 접촉에서 경계를 두지 않는 공모적 남성성은 상사뱀의 해원을 이루는 반면 남명은 상사뱀의 해원을 이루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Nammyeong's masculinity according to his attitude toward women's desire and making a relation in four "tales of Nammyeong and the Sangsa Snake" in the series of oral literature. While the female characters regarded Nammyeong as an ideal man regardless of their social and marital status, Nammyeong had a free concept of sex. When he was young, however, he scolded a lady displaying her desire through caning and tried to teacher her the discipline and custom of nobility. This episode suggests that his sexual awareness made a shift from upright to broad-minded.
    When a person has his or her love rejected, he or she dies and becomes the Sangsa Snake. In stories of the Sangsa Snake, a character's desire is projected on the object. The prototypicality of the Sangsa Snake can be found in narrative shaman songs, in which one becomes the snake because he or she was discarded, driven away, or had his or her desire suppressed. In the tales of Nammyeong and the Sangsa Snake, the female characters have their desire blocked and become the Sangsa Snake. In this sense, the Sangsa Snake is the concentration of women's desire those days.
    In the process of helping these women vent their spite, Nammyeong undergoes "looking into," "fulfilling desire," "keeping her beside him" and "cultivating." His empathy lets the women satisfy their sexual desire with no limit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sculinity by R. W. Connell, Nammyeong's attitude of forming a relation with women's desire moved from hegemonic masculinity to complicit masculinity. Nammyeong had an upright idea of sex when he was young, and his idea of sex became flexible over the years, which indicates his masculinity was differentiated from hegemonic masculinity. His physical contacts were not direct and had some distance from women as he was affirmative of the Sangsa Snake's desire without expressing his sexual desire directly, which suggests his transition toward complicit masculinity. Being acceptive and affirmative of women's desire entirely, complicit men set no boundary in physical contacts and help women vent their resentment. Nammyeong, however, did not have their resentment vented. Historical facts tell that his failure was due to the intervention of his pupil Jeong In-hong with hegemonic masculinity, but the more direct reason was Nammyeong's attitude toward women's des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