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물로 본 민속춤의 흔적과 의미 (A Study on Evidence and Meaning of Folk Dance Viewed from Relic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5.05
32P 미리보기
유물로 본 민속춤의 흔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11권 / 2호 / 113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윤지

    초록

    예술의 발전은 그 전대 예술의 기록을 집대성하고, 그것을 발전시키는 가운데서 보다 전문화된 예술로 진보하게 된다. 오늘날 민속춤이라고 하는 예술분야 또한 예외일 수는 없다. 춤이 지닌 종합적인 현장예술로서의 속성으로 인해서 그 춤의 족적(足跡)은 많지 않으나, 본고에서는 민속춤과 관련 된 유물의 조각을 엮어서 해당 춤의 사적 조망과 의미적 행보를 추적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춤의 뿌리는 하나이다. 춤은 시대의 흐름과 발전 속에서 마디별의 성장을 거듭하여 여러 가지의 기능과 표상을 지닌 다양한 가지로 뻗어나간다. 그 중 하나를 우리는 민속춤으로 명명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한국의 민속춤은 살기 위한 본능적인 움직임을 시초로 하여 국가의 행사와 그 행사를 기록한 대표적인 역사서를 중심으로 기록되어 왔다. 실제로는 국가의 주요 행사를 시초로 하여 민중과 함께 가·무·악을 공유하면서 조선후기의 문화사적 배경에 의해 오늘날 민속춤의 토대를 조성했다고 본다. 셋째, 조선후기 기록유물로 본 민속춤은 정월(正月)에는 <입춘굿>․<법고(法鼓)>․<처용>의 벽사행위가 성행했고, 중원(中元)에는 절의 백종절과 남자들의 <백중놀이>, 부녀자들의 <회소무>가 현종․정조․순조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춤으로 연희된다. 또한 사시사철 늘 연희된 산대놀이와 굿도 있다. 이 시기의 민속춤은 역사적 과정과 지역적 배경 속에서 형성된 기층문화로서의 예술로 자리매김 하게 되고 특정계급을 위한 향유층이 별도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가 향유자가 되기도 하고, 향유자가 행위자가 되면서 세시․의식과 관련 된 모든 판에서 이루어진 ‘더불어 노는 열린춤’으로 전승되었다. 즉 조선 후기의 이 춤은 여민동락(與民同樂)의 대표적인 문화 징표이며, 오늘날 민속춤의 예술성․학술성․역사성의 가치를 고증하는 또 하나의 뿌리이다.

    영어초록

    Art is advanced in a more professional way in the course of collecting and developing artistic records in the previous period. This is also applied to folk dance. As dance is general site performance in its attribute, there are not many evidences of danc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dances and its meaning historically by combining relics related to folk da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one root of dance. Dance has grown along with the trend and development of period and expands to various branches with numerous functions and expressions. One of those dances is called as folk dance. Secondly, Korean folk dance was originated from instinct movement to survive and has been recorded in national events and representative historic documents that records national events. In reality, it has been argued that the foundation of today's folk dance has been established from major national events while sharing song, dance and music with the people on the cultural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rdly, as for folk dance viewed from record relics at late Joseon, <Ipchungut>, <Beopgo> and an act of keeping away disaster performed by <Cheoyong> were prevalent in the first month of the year. On July 15th in the lunar calender, ‘Baekjongjeol’ of Buddhist temples, <Baekjungnori> of men, and <Hoesomu> of housewives were performed as the most popular types of dance until King Hyeonjong, King Jeongjo, and King Sunjo. And, there are ‘Sandaenori’ and ‘Gut’ which were performed at all seasons.
    Folk dance of this period became an art of basic culture formed in the historic process and regional background. While there is no specific class to enjoy, performers can be beneficiaries and beneficiaries can be performers. Thus, it has been transmitted as ‘open dance enjoying togethe’ in all areas of seasonal and ritual events. In other words, da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n important cultural mark of ‘Yeomindongrak, Rejoice with People’ and is also a root that verifies artistic, academic and historical value of today’s folk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