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헌자료로 본 泗川 史勿國 (‘Sacheon(泗川) and Samulguk(史勿國)’, focusing on historical record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9.10
39P 미리보기
문헌자료로 본 泗川 史勿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로컬리티 인문학 / 22호 / 279 ~ 317페이지
    · 저자명 : 백승옥

    초록

    삼국유사』 물계자전에 등장하는 사물국은 지금의 경남 사천지역에 존재했던 가야의 한 나라였다. 그러나 관련 기록이 적어 사물국의 역사는 정리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본고에서는 문헌 사료를 중심으로 세 가지 점에 관심을 가지고 사물국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첫째는, 사물국이 포상팔국의 한 나라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포상팔국이 연합하여 주변의 안라국과 가라국, 신라를 공격하는 이른바 포상팔국전쟁은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파악했다. 전쟁의 목적은 남동해안 해상교역권의 쟁탈과 육지로의 진출을 위한 것이었다. 이해를 같이 하는 8국이 동일한 목적 달성을 위해 연맹을 맺었다. 그들이 공동운명체 ‘포상팔국 지역연맹체’였다. 사물국도 그 중의 한 나라였다. 그러나 전쟁은 패배했으며, 이는 사물국의 성장에 큰 타격을 주었다. 둘째는, 5세기 초 고구려군의 남정에 관심을 가졌다. 고구려군은 백제와 倭의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해 남해안에까지 이르렀다. 창선도와 곤명현 관련 기록은 그러한 사정을 말해 준다. 이에 사물국에도 영향을 미쳤음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셋째는, 사물국의 멸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삼국사기』에 보이는 가야금 곡명 ‘思勿’은 사물국의 國歌와 같은 것이었다. 이 곡이 만들어진 시기는 6세기 중반이다. 따라서 사물국은 6세기 중반 대까지는 존재했다. 자세한 추적은 어렵지만, 이웃 고자국의 사정으로 보아 6세기 중·후엽 신라에 병합되는 것으로 보인다. 신라 병합 후에는 史勿縣이 된다. 이후 오늘날 사용되는 泗川이란 명칭은 조선 초 태종 때부터이다.

    영어초록

    Samulguk, which appears in the ‘Samgukyusa(三國遺事)’ Mulgyejajeon(勿稽子傳), was a country of Gaya(加耶) that existed in the present Sacheon region in Gyeongsangnam-do Province. However, the history of Samulguk remained cluttered due to the lack of related records. This paper looked at the image of Samulguk with interest in three points, focusing on historical records. First, this paper noted that Samulguk existed as a country of Posangpalguk(浦上八國). It is understood that the so-called Posangpalguk war, which Posangpalguk united and attacked neighboring Anraguk(安羅國), Garaguk(加羅國) and Silla(新羅), took place from the late 3rd to the early 4th century. The purpose of the war is to scramble for a Southeastern Coastal marine trading right and to enter the land. Eight maritime powers formed a league to achieve the same goal. They were the common destiny, ‘Posalpalguk regional Federation’. Samulguk was one of them. But after Samulguk lost the war, Samulguk was hit hard to its future growth. Second, this paper wa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ern conquest of Goguryeo and Samulguk in the early 5th century. Troops of Goguryeo reached the southern coast to sever the link between Baekje(百濟) and Wae(倭). Records related to Changsun-do(昌善島) and Gomyeong-hyeon(昆明縣) indicate such circumstances. Since the two regions were the territory of Samulguk,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Goguryeo influenced the regions. Third, this paper looked at the fall of Samulguk. The name ‘Samul(思勿),’ which is the name of the song of Gayageum(加耶琴) in ‘Samguksagi(三國史記),’ is the same as national anthem of Samulguk. The song was made in the mid 6th century. Thus, Samulguk had existed until the mid 6th century. Tracking in detail is difficult, but it can be inferred from the circumstances of neighboring country, Gojaguk(古自國), that Samulguk was merged into Silla in the mid and late sixth century. After the annexation into Silla, it became ‘Samulhyeon(史勿縣)’. Later, the name ‘Sacheon’, which is used today, dates back to King Taejong of the early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로컬리티 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