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외교류로 본 제주의 기와 (Roof tiles of Jeju on foreign exchan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12
20P 미리보기
대외교류로 본 제주의 기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와학보 / 2호 / 82 ~ 101페이지
    · 저자명 : 양종현

    초록

    제주는 시대와 기록에 따라 탐라(耽羅)·탁라(乇羅)·탐모라(耽毛羅)·동영주(東瀛洲) 등으로 나타난다. 이제까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제주에서 출토된 기와에 대해서는 대부분 삼별초(三別抄)의 이동과 관련 하여 다루어졌다. 고려시대 탐라기와의 계통은 개경과 강도(江都, 강화도)를 거쳐 제주로 유입된 강도계 (江都系)와 진도 용장산성을 거친 진도계(珍島系)로 구분하고 있다.
    탐라는 이른 시기부터 중국과 한반도 내륙, 그리고 일본과 교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10세기 이 전, 탐라는 당·백제·신라·일본과 인적·물적 교류를 통해서 특별한 대립 없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 것 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10세기 이후에는 원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고려와 원의 직접적인 관리가 이루어진 시기로서 기와에서도 그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제주의 초기기와는 고려시대에 시작하여 삼별초의 이동과 관련한 유적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자연스럽게 삼별초의 이동 경로에 따른 계통문제로 다루어져 온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주기와의 제작과 관련해서 기와장인이 삼별초와 함께 제주에 입거하였다는 설과 남해안 지역의 기와가 유입되었다는 설이 있으나, 중원지역과 경주지역에서도 제주기와와 유사한 문양구성을 보이는 사례가 있다.
    이 같은 상황은 제작기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주의 수막새 중 일부는 소지에 와범을 압날하여 시문 하는‘종치형(縱置形)압날식 시문법’으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성형이 완료된 막새와 수키와를 접합하는 방법에서도 성형이 완료된 원통형의 수키와를 막새 뒷면에 부착하고 절반 정도를 절개하는‘원통접합후 분할기법’으로 제작된 특징이 있다. 원통접합후 분할기법은 한반도에서는 낙랑과 한성기 백제, 신라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이 기법으로 제작된 막새는 일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코시노하마폐사에서 출토된 막새는 제주에서 제작된 막새의 문양과 매우 유사하며, 제작기법 역시 원통 접합 후 분할기법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 막새는 윤청·장언 등 기타큐슈에 억류 중이던 신라인들이 9세 기에 정관대지진의 복구를 위해 이주한 지역에 위치하며, 이들의 기와제작기술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물론 몇 가지 공통점을 근거로 한반도의 기와제작기술 또는 그와 관련된 인물들이 한반도와 일본, 그 리고 제주도의 기와 제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대외교류를 통한 조 사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Jeju is represented by Tamra(耽羅), Takra(乇羅), Tamora(耽毛羅), and Dongyeongju(東瀛洲), depending on the times and records. According to prior studies, most of the roof tiles excavated in Jeju were related to the movement of Sambyulcho(三別抄). During the Goryeo Dynasty, roof tile in Tamla line of descent is divided into Gangdo(江都), which flowed into Jeju via Gaegyeong and Ganghwado Island, and Jindo, which passed through Yongjangsanseong(龍藏山城) Fortress in Jindo.
    Tamra is believed to have engaged in exchanges with China,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since early times. Prior to the 10th century, Tamra maintained friendly relations with Tang, Baekje, Silla, and Japan without any special confrontation. And after the 10th century, the direct management of Goryeo and Yuan Dynasty, including its relations with Yuan Dynasty, was carried out, and its influence can be seen in roof tiles.
    The early period of Jeju began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has been studied around the remains related to the movement of Sambyulcho, and naturally it has been dealt with as a systematic problem along the path of Sambyulcho.
    In general, there is a theory that tile artisans lived in Jeju with Sambyul Elementary School and roof tile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but there are also cases where roof tiles similar to Jeju Flag are introduced in the Jungwon and Gyeongju areas of Gyeongju.
    The same is true of production techniques. It is understood that the method is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in Nakrang, Hanseong Baekje and Silla. At the same time, the mules produced with this technique can be found in Japan, and the mules excavated from the Koshinohamahaiji(腰浜廢寺) are very similar to those produced in Jeju, and the production technique also has something in common as a method of dividing after cylindrical bonding. This rodent is believed to have been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Silla people, including Yun Cheng and Zhang Eon, who were detained in Kitakyushu, migrated to restore the Jeonggwan Earthquake in the 9th century, and most likely related to their tile-making technology.
    Of course, based on some common ground, it is hard to assert that the tile-making techn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or its related figures directly influenced the tile-making of the Korean Peninsula, Japan and Jeju Island. However, I think it will be a clue to carry out research and research through foreign ex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