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불교로 본 트랜스휴머니즘 (Chan Buddhism on Transhuman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3.08
29P 미리보기
선불교로 본 트랜스휴머니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7호 / 329 ~ 357페이지
    · 저자명 : 강지언

    초록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은 기술 발전과 더불어 부상한 현대사상으로, 현대인을 재정의한다는 점에서 종교와도 연관성을 가지며 종교학계의 논의 역시 시작되었다. 특히 서구에서는 불교가 과학과 양립한다는 인식에서 여러 트랜스휴머니스트들 역시 불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휴머니즘과 관련된 기술 및 주요 경향, 불교 트랜스휴머니즘 연구를 소개하고, 고려 나옹 혜근(懶翁惠勤, 1320-1376)의 사상을 중심으로 트랜스휴머니즘의 핵심 개념인 ‘향상(enhancement)’과 ‘불멸(immortality)’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의 신체적‧심리적 조건이 나아지는 현상을 향상으로 보고, 기술이 인간 사회를 향상할 수 있으며, 그러한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옹은 인간의 모든 조건은 임시적이며 불성과 이에 대한 깨달음은 모두에게 내재해 있기에 조건에 매이지 말 것을 권한다. 또한 트랜스휴머니즘은 기술을 통하여 언젠가 인간의 심신이 멸하지 않는 불멸의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는 개인을 자기(self)로 보는 서양의 인간관을 바탕으로 한다. 나옹에게 불생불멸은 불성(佛性)의 특성으로 찾거나 구할 필요 없이 모두에게 내재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트랜스휴머니즘과 나옹의 선 사상은 인간과 세상에 대해 전제와 해석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영어초록

    Transhumanism is a modern ideology that has emerged alongside technological advancements. It shares some associations with religion in that it aims to redefine modern human beings, so discussions with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have also begun. In particular, in the Western context, there is a perception that Buddhism is compatible with science, and many transhumanists are also paying attention to Buddhism.
    This research aims to introduce the technologies and major trends related to transhumanism, as well as explore the study of Buddhist transhumanism. Also, it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he concepts of 'enhancement' and 'immortality,' which are core concepts of transhumanism, with a focus on Seon thoughts of Korean monk Naong Hyegeun (1320- 1376).
    Transhumanism sees the improvement of huma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as enhancement and argues that technology can enhance human society, advocating the exploration of such possibilities. However, Naong suggests that all human conditions are impermanent and emphasizes that enlightenment regarding impermanence is inherent in everyone, advising against attachment to conditions.
    Furthermore, transhumanism envisions that through technology, human beings can eventually reach an immortal state where their body and mind are preserved indefinitely. However, this perspective is based on the Western concept of viewing the individual as a self. On the other hand, Naong believes that the attainment of immortality is inherent in everyone as a characteristic of Buddha-nature, without the need to seek or find it. Therefore, transhumanism and Naong's Seon thoughts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remises and interpretations regarding human beings and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