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교문자도(儒敎文字圖) ‘예(禮)’의 시각화와 상징성 연구(2) : 문선왕(文宣王) 공자(孔子)와 하도낙서(河圖洛書)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Confucian munjado propriety and Symbolism(2))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6
27P 미리보기
유교문자도(儒敎文字圖) ‘예(禮)’의 시각화와 상징성 연구(2) : 문선왕(文宣王) 공자(孔子)와 하도낙서(河圖洛書)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20호 / 87 ~ 113페이지
    · 저자명 : 조정육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제2기의 도상조합형 ‘문자도 예’를, 공자를 상징하는 부분과 복희를 상징하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예’는 ‘시’와 ‘풍’이 결합된 문자인데 제2기의 ‘문자도 예’에서는 ‘시’부분에거북이로 상징되는 하도낙서를, ‘풍’부분에는 ‘습례’, ‘행단’, ‘기린’ 등 공자와 관련된 상징이 삽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공자와 관련된 부분을 습례수하와 기린토서 그리고 행단춘풍과 강론시서를통해 고찰했는데 이것은 1기와 마찬가지의 내용을 표현한 것이지만 그 도상적인 특징에서는 큰 변화가보인다. 먼저 습례수하와 관련해서는 1기에서 ‘조두’와 ‘대수’를 선택해 하나의 도상으로 만들었으며공자가 제사를 지내거나 제자들에게 예법을 가르치는 장면이 그려졌는데 2기에서는 공자의 모습이나대수는 간략하게 묘사되거나 생략되었다. 또한 기린의 의미를 《공부자성적도》의 <기린옥서>와 <서수획린>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기린이 성인 공자의 탄생과 죽음을 예시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음 장에서는 행단춘풍과 강론시서를 통해 공자의 교육공간인 행단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런데 2 기에서는 구체적인 인물표현 대신 살구나무나 사서오경 또는 제시로 행단을 대체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던 ‘천지절문’이 제2기 ‘문자도 예’의 화제에 자주 등장한 것에 착안해그 의미와 공자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하도낙서와 관련된 부분은 복희(伏羲)와 팔괘(八卦) 그리고 거북이로 상징되는 낙구(洛龜)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래 하도낙서는 복희의 하도와 하우의 낙서가 결합되어 성왕의 태평성대와 상서로움을 의미하지만 후대에는 하도와 낙서가 혼용되거나 왜곡된 사례가 나타난 예를 발견할 수 있었다. ‘문자도예’에 복희와 공자가 하나의 도상으로 결합된 이유는 복희가 인류 문화를 시작했고 공자는 과거 성인들의 행적을 정리하여 교육을 통해 후대에 전해줌으로써 인류 문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을알려주기 위해서였다. 즉 유가에서는 인류문화가 요-순-우-탕-문-무-주공-공자라는 도통을 통해 전해졌다고 주장하는데 그중에서도 공자의 덕은 그 어떤 성왕보다도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그 덕이 바로 ‘조술요순’과 ‘헌장문무’라는 ‘문선(文宣)’인데 공자가 바로 문선의 주인공이다. 따라서 ‘문자도 예’에 공자의 행적을 삽입한 것은 문자를 통해 전달되는 ‘문선왕’ 공자의 덕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 그 목적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paper divides Munjado(文字圖) Propriety(禮) into parts representing Confucius(孔子) and parts symbolizing Fu Xi(伏羲). Munjado Ye(文字圖 禮) is a character combined with Si (礻) and Poong(豊). The turtle of HaDoNakseo(河圖洛書) was inscribed in Si(礻) while symbols of representing Confucius such as Images of Confucius Teaching His Disciples(習 禮), Kilin(麒麟) and the Apricot Altar(杏壇) were added in Poong(豊). The paper studies Images of Confucius Teaching His Disciples(習禮樹下), A Kilin with an Auspicious Letter(麒 麟吐書), The Apricot Altar(杏壇) and The Lecture of poet and literature(講論詩書) with regard to Confucius.
    Although the pictures were almost same bu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last paper I wrote. For the Images of Confucius Teaching His Disciples(習禮樹下) where Confucius practicing ancestor worship or teaching courtesy to his students were carefully painted with one iconograph choosing The Ceremonies of Setting Out Tsu and Tou(俎豆禮容) along with Big Tree(大樹) in the previous while the figure of Confucius and Big Tree(大樹) were simply described or omitted to be painted in the next. The paper found that a Kilin(麒麟) indicates birth and death of saint Confucius by studying A Kilin with an Auspicious Letter(麒麟玉書) and catching a unicorn while hunting in the west(西狩獲麟) of the Holy Traces of Confucius(孔子聖蹟圖).
    The study researches the Apricot Altar in spring wind(杏壇春風) and The Lecture of poet and literature(講論詩書). It’s found that apricot tree, Four Books and Five Classics(四書五經) or Character(題詩) were used to replace the Apricot Altar(杏壇) instead of describing figures specifically. For the Cheonjijeolmun(天地節文) which is not found at all in the previous pictures but frequently found in Munjado Ye(文字圖 禮), the study looks into the meaning and relations with Confucius Cheonjijeolmun(天地節文). For the Hetu-Luoshu(河 圖洛書), I do research Fu Xi(伏羲), Eight Diagrams(八卦) and Nak-Goo(洛龜) indicating turtle. Hetu-Luoshu(河圖洛書) originally means peaceful reign and luck when a Saint governs combing Hetu(河圖) in Fu Xi(伏羲) with Luoshu(洛書) in Great Wu(大禹). but it is found that Hetu-Luoshu(河圖洛書) were mingled or distorted later.
    The reason why Fu Xi(伏羲) and Confucius was united in the same picture Munjado(文字 圖) Propriety(禮) is to tell that Fu Xi(伏羲) is one of the pioneers of human civilization and Confucius will be the one who made human cultures be lasting by arranging achievements of previous saints and teaching to the public.
    In Confucianism it is said that human cultures are passed down by many saints(聖王) and the virtue of Confucius is regarded as the most distinguishable compared with any saints. Confucius’ whereabout was added in Munjado(文字圖) Propriety(禮) only because to emphasize the virtue of Confucius(文宣王 孔子) which was passed down through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