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선잠제 제기의 구성과 의미-영조 정해년 왕비친림작헌례의 제기를 중심으로- (The Composition and Significance of Seonjamje Ritual Vessels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Ritual Vessels for the Queen’s Operating Jackhunrye in the Junghye Year)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2.10
49P 미리보기
조선시대 선잠제 제기의 구성과 의미-영조 정해년 왕비친림작헌례의 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12호 / 87 ~ 135페이지
    · 저자명 : 구혜인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조선시대 선잠제의 정립과정 중 제기의 구성에 대해 살피고, 그 가운데서 영조 정해년 왕비친림작헌례의 제기와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선잠제는 태종대부터 본격적으로 다른 국가 변사들과 함께 논의되면서 제도적으로 정립되어 갔고, 『국조오례의』에 중사로 등재되었다. 선잠제는 왕비가 직접 내외명부를 거느리고 행하는 것이 원칙이나 중국에서도 친행과 섭행을 오가며 실행되었고, 조선에서는 섭행의 방식을 선택했다. 그래서 선잠제는 남성 관료인 유사가 왕이 내린 향과 축문을 받아 행하고 친잠은 왕비와 내외명부가 행하게 되었다. 즉 선잠의례는 두 가지 의례(제향-친잠)가 두 주체에 의해 각각 거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선잠제의 제기는 중사의 풍운뇌우 진설 방식을 따라 변, 두를 각각 10개씩 진설했다. 그리고 신위 수에 영향을 받는 제기들은 1개의 신위 수에 맞춰 진설하는 제기제도를 갖추었다.
    1767년(영조 43) 정해년에 영조는 정순왕후가 직접 선잠제를 친행할 수 있도록 추진하였다. 이는 영조 이전까지 남성관료가 섭사해온 선잠제에 큰 변화를 예고하였고, 서릉씨를 위한 선잠제와 뽕잎을 따는 친잠을 왕비가 모두 주관하도록 하는 영조의 뜻은 정치적인 목적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악사 부족 등 예상치 못한 난관이 발생하자 영조는 ‘작헌례’라는 새로운 형식을 스스로 제안하였다. 작헌례는 조선초기부터 문선왕작헌례에서 시작된 의식으로, 작 1개, 변 1개, 두 1개, 희준 1개, 상준 1개로 이루어진 비교적 간소한 의례이지만 『국조오례의』에 등재된 중사급 제사로 여겨졌다. 조선후기 종묘, 영희전, 선원전, 산릉 등에서도 작헌례를 행하고, 작헌례 형식, 규모, 의미, 성격도 다양해졌다. 영조 정해년의 왕비친림작헌례는 문선왕작헌례의 제기 진설 방식과 규모를 따랐고, 이에 제기들과 제구들도 새롭게 제작되었다. 서릉씨의 신위 앞에 작 1개, 변 1개, 두 1개, 산뢰 1개가 진설되었다.
    영조는 중사인 문선왕 작헌례라는 안정적이고 권위있는 제기 진설제도를 왕비친림선잠례에 도입하고, 작헌례용 제기를 특별히 주조하면서까지 정성껏 제례를 준비하게 한 영조의 뜻은 ‘친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를 짐작하게 한다. 왕비친림작헌례를 비롯한 작헌례의 제기는 해당 제향의 기본적인 속성(정제, 속제)과 다른 의례들과의 상호관계를 통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었고 할 수 있으며, 왕비친림작헌례에서 사용된 제기들은 중사의 성격을 가지는 작헌례라는 특수한 경우에 어떤 구성으로 제기를 진설했는지 알 수 있는 사례로써 의미가 있다. 이처럼 제기란 물질은 선잠제의 성격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또 다른 통로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sition of ritual vessels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eonjamje in the Joseon Dynasty, and to reveal the ritual and meaning of the ritual of King Yeongjo Jeong Hae year.
    In the 43rd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67), he promoted Queen Jeongsun to perform Seonjamje in person. This heralded a major change in the Seonjamje, which had been practiced by male officials, and his intention to have both the Seonjamje and the Cjinjam queen administer had an inherent political purpose. However, when unexpected difficulties such as a lack of musicians occurred, King Yeongjo proposed a new form called "Jakheonrye." Jakheonrye is a ritual that began with Munseonwang Jakheonry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as considered a relatively simple ritual consisting of one Jak, one Byeon, two Du, one Heejun, and one Sangjun, but was considered a middle-level ritual listed in the Gukjo-Orye. In the late Joseon Dynasty, Jakheonrye was also held in Jongmyo, Yeonghuijeon, Seonwonjeon, and Sanneung, and the format, scale, meaning, and character of the Jakheonrye were diversified. King Yeongjo's reign of Jeong-year followed the method and scale of the ritual of King Munseon's construction of the ritual, and accordingly, ritual ceremonies and ritual utensils were newly produced. In front of the god of Seorung, one Jak, one Byeon, one Du, and one Saroi were prepared.
    As such, the material of Ritual vessels can be another channel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Seonjamje by period and the nature of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