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仁義禮智에 대한 인식 비교연구 - 朱子, 茶山, 戴震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concepts of 仁, 義, 禮, 智 of Zhu Xi, Dasan, and Dai Zhe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8.12
27P 미리보기
仁義禮智에 대한 인식 비교연구 - 朱子, 茶山, 戴震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7권 / 1호 / 423 ~ 449페이지
    · 저자명 : 김조영

    초록

    본고는 孟子의 仁義禮智에 대한 茶山의 견해를 중심으로 朱子와 戴震의 견해를 비교분석하여, 仁義禮智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朱子와 茶山 그리고 戴震의 經學에 대한 변별성을 살펴본 것이다. 仁義禮智는 유학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개념이다. 程朱學에서는 일반적으로 仁義禮智는 性의 형이상학적 의미를 표현한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仁義禮智를 四德이라 부르고 있으며, 仁義禮智가 발현된 것이라고 하는 惻隱·羞惡·辭讓·是非는 四端이라 부르고 있다.
    經學에 있어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仁義禮智를 성리학적 입장에서 해석한 朱子는 『孟子集註』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朱子에 비판적인 입장에서 字義를 중심으로 해석한 茶山의 仁義禮智는 『孟子要義』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氣철학에 기초하여 새로운 사상을 정립하려한 戴震의 仁義禮智는 『孟子字義疏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성리학적 입장에서 해석한 朱子의 仁義禮智는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본질적 특성으로, ‘性’이기 때문에 ‘性卽理’의 사상에 따라 곧 ‘理’이다.
    또한 朱子는 惻隱·羞惡·辭讓·是非는 情이기 때문에 性인 仁義禮智가 四端인 惻隱·羞惡·辭讓·是非를 통해 발현하여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性’을 인식할 수 있다고 보았다.
    茶山은 孟子의 仁義禮智를 해석함에 있어, 字義를 중심으로 孟子의 本義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자신의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였다. 茶山의 견해에 따르면, 仁義禮智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이 본래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茶山은 性을 ‘사람의 嗜好’라고 하였으며, 惻隱·羞惡·辭讓·是非의 마음이 仁義禮智의 시작으로, 惻隱·羞惡·辭讓·是非가 행동으로 실천된 뒤에 仁義禮智라는 개념이 성립된다고 하였다. 茶山의 이러한 견해는 朱子가 말하는 仁義禮智와 상반된 개념으로, 程朱學에 비판적 시각을 가진 茶山의 독특한 사상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戴震은 仁義禮智가 가지고 있는 원리적 의미를 중심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사상을 정립하였다. 戴震의 仁義禮智는 개별적 도덕원리로서 朱子나 茶山과도 구별된다. 또한 戴震의 견해로 보면 仁義禮智는 배우고 노력하는 행위로 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행동하고 실천한 뒤에 仁義禮智가 성립된다는 茶山의 견해와 맥락이 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戴震이 해석한 仁義禮智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인간의 행위를 중심으로 仁義禮智를 설명함으로써 인간중심의 도덕적 행동원리로 이끌어내어 해석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仁義禮智에 대한 세 학자의 다양한 견해는 『孟子』 經文의 本義에 접근하려는 학문적 변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문적 변별성은 학문적 의미의 확충이며, 학문의 다양성을 성립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가 된다. 또한 後學者들의 학문연구에 있어 사고의 전환을 이루게 하여 보다 심도 있는 經傳硏究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각 학자의 仁義禮智에 대한 견해를 분석해 보는 것은 經傳硏究에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conduc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仁, 義, 禮,智(the ideas of benevolence, justice, courtesy, and wisdom) which are the key ideas in confucianism by comparing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Mencius from Zhu Xi(朱熹), Jung Yak-Yong(茶山), Dai Zhen(戴震).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analyzes the writings of the three figures about The Mencius - 孟子集註 of Zhu Xi, 孟子要義 of Jung Yak-Yong, 孟子字義疏證 of Dai Zhen- by focusing on the examples that the words - 仁, 義, 禮, 智- were used in and the definition they had given to the words in their writings.
    Zhu Xi who is considered to be the founder of neo-confucianism-major philosophy of eastern Asia in the medieval times- defines 仁, 義, 禮, 智 as human nature which is exactly the same with li(理)- the metaphysical concept referring to the order or the principle of the nature. According to Zhu Xi, 仁, 義, 禮, 智 represents the fundamental kindness of human nature so that these become the root of so called Four principles(四端))- the conscience that are divided into four in response to 仁, 義, 禮, 智.
    Otherwise Jung Yak-Yong defines 仁, 義, 禮, 智 as not human nature but moral ideas that one should accomplish. Therefore following Four principles(四端) becomes the roots to achieve those ethical values. Even though Jung Yak-Yong still believed in the innate virtue of human being, Jung Yak-Yong ’s suggestion was exceptional in those days which Zhu Xi’s opinion was the majority in regard to the denial of apriority of 仁,義, 禮, 智. He broke the mold by redefining human-nature being ‘Preference’.
    Dai Zhen’s view on 仁, 義, 禮, 智 is similar to Jung Yak-Yong in regard to those concepts being extrinsic so that one should accomplish by learning and practicing, but the difference is that Dai Zhen never refers Four principles(四端) as internal motivation to achieve moral values rather he emphasizes education and discipline supposedly standing Xun zi’s side considering human nature being fundamentally evil. Furthermore he suggests a new angle on 仁, 義, 禮, 智 by redefining each value being interdependent.
    Although the words 仁, 義, 禮, 智 have been familiar to people having been living in Confucian culture, the actual concepts of those have always been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viviparous limitation of metaphysical ideas. Thus Comparing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ose concepts broadens the understanding and also could helps people find virtues to pur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