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례(時禮)와 권도(權道)에 대한 시각- 『맹자』의 「남여수수불친예여장(男女授受不親禮與章)」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A View on contemporary custom(時禮) and modified application of courtesy(權道): mainly on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s ‘The man and the woman does not take a direct hand(男女授受不親章)’)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5.11
32P 미리보기
시례(時禮)와 권도(權道)에 대한 시각- 『맹자』의 「남여수수불친예여장(男女授受不親禮與章)」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9호 / 179 ~ 210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이 글은 유교경전에 대한 동아시아 학자들의 주석을 검토하여 보편원리로서의 예(禮)와 특수한 정황에서의 예의 변통적 적용인 권(權)을 두고 전개되는 다양한 예와 관련한 이해의 시각을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검토한 것이다. 상례(常禮)와 권도(權道)에 대한 입장의 차이를 선명하게 드러내 놓고대담하는 전국시대의 두 재변가 순우곤(淳于髡)과 맹자의 대화가 수록된 맹자⋅이루상 17장 [남여수수불친예여장(男女授受不親禮與章)]이 그 검토대상이다.
    순우곤은 남녀가 직접 물건을 주고받는 것이 상례가 아니지만 형수가물에 빠진 것과 같은 위급상황에는 직접 손을 잡고 구할 수밖에 없듯 천하가 물에 빠진 듯한 난세에는 원칙만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변통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맹자는 천하를 구제하는 것은 물에 빠진 형수를 구하기 위해 손을 잡는 것과 같은 권도로 할 것이 아니라 원칙적인 정도(正道)를 통해서만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 대화는 전국시대(戰國時代)라는 난세를 안정시킬 방법과 출사에 대한 두 유세객의 입장차이를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예화(例話)로 활용된 내용이 예의 근본과 상황에 따른 예의 변통, 그리고 더 큰 문제해결의 원칙으로서의 도라는 예학의 핵심논리를 담고 있어 대화의 긴장감이 높고 문제의식 역시 치열하다. 그 결과 적지 않은 동아시아의 학자들이 이 문제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면서 상도로서의 예와 변통으로서의 권에 대해 고민했고, 나아가 권을 보편원리인 예와 도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위치시킬 것인가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아울러 정당한 방법으로서의 권도와 권도를 수용하는 예제(禮制)의 운용에 관심을 가졌다. 고례(古禮)에 대비되는 이른 바 금례(今禮)로서의 시례(時禮)의 적용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학자들의 이 논점에 대한 입장을 검토하면서 시대와 조응하는 예제로서의 시례와 그 방법론의 하나인 권도가 어떠한 인식논리로 정당화되는가를 짚어보았다. 동아시아에서 정치의 근본원리로서의 예와 그 구체적 실천으로서의 의절(儀節)에 대한 이해가 상황과 시대정신에 따라 어떻게 그 시야를 수정하는지에 대한 실제적 국면을 이 논점에 대한 해석상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annotations of East Asian scholars about a Confucian scripture and examined, from the Eastern Asian point of view, the various understandings regarding courtesy(禮), the universal principle, and Gwon Do(權道), the temporary and modified application of courtesy fit for specific situation. The text to be analyzed is Mencius’s ‘The man and the woman does not take a direct hand(男女授受不親章)’ which is a dialogue between two eloquent speakers of the Age of Civil Wars, Sunwoogon and Mencius, with their conflicting views about customary courtesy(常禮) and modified application of courtesy(權道).
    Sunwoogon took the example that in an emergency situation like one’s sister-in-law is drowning, a man cannot help catching her though a man and a woman are not supposed to touch each other. He claimed that in a turbulent era, one cannot strictly stick to principles and has to have flexibility. Mencius, however, holds the view that the matter of saving the world cannot be achieved through Gwon Do, which is used to save one’s drowning sister-in-law, but through the right way(正道).
    This dialogue only reveals the different views of two stump orators on the ways to stabilize the troublesome era and on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However, the allegory used in the talk contains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foundation of Ye(禮), temporary modification of Ye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and Do(道),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solving questions and the core theory of the study of courtesy(禮學). So the conversation unfolds in heightened tension and reveals acute awareness of the problems.
    Afterwards, not a few East Asian scholars posed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is issue, and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Ye(禮) as customary courtesy and Gwon as modified application of courtesy. They pondered about where to position Gwon in relation to the universal principle of Ye and Do. They were also interested in Gwon Do as a proper way and the operation of Ye Je that accepts Gwon-do, which means contemporary custom(時禮) in contrast to old custom(古禮).
    This paper reviewed East Asian scholars’ positions on this issue and examined by which epistemic logic contemporary custom, which is Ye-je(禮制) that agrees with the era, and Gwon-do, one of the methodologies of contemporary custom are justified.
    We will be able to find out the actual aspects of how Y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politics, and the understanding of Yui Jeol (all the procedures and orders of courtesy), its specific practice, change the view according to the situations and spirit of the times through the changing interpretation of this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