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서양의 ‘영(靈)’과 영성(靈性)의 비교 종교학적 고찰 - 율곡(栗谷)과 다산(茶山)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Religious Study of Spirit and Spirituality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Focusing on the Anima Theory of Yulgok(栗谷) and Dasan(茶山))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동·서양의 ‘영(靈)’과 영성(靈性)의 비교 종교학적 고찰 - 율곡(栗谷)과 다산(茶山)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0권 / 125 ~ 154페이지
    · 저자명 : 박용태

    초록

    서양 철학과 기독교 신학에 나타난 인간의 ‘영혼’은 육체의 질료적 성격과 욕망적 성격이 대립되는 내면적이고 본질적이며 정신적인 의미이다. 또한 이 영혼은 인간 내면에 ‘실재’하는 것으로 인간의 정수(精髓: essence)이자, 육체를 떠나서도 불멸하는 영원하고 초월적인 대상이다. 이와 같은 ‘영혼불멸론’은 이데아론에 기초한 플라톤의 인간론을 기초로 기독교 사상과 플로티노스 등 신플라톤주의 영지주의에서 영(靈)/육(肉) 이원론적 구조로 정립되었다. 이에 비하여 동아시아 전통문화와 사상의 ‘영’의 개념은 인간의 본질적 개념이 아닌 인간 본성의 ‘능력’이나 ‘작용’의 의미를 가진다. 또한 플라톤의 ‘영혼’에 비교될 수 있는 동아시아적 개념으로는 ‘성(性)’, ‘귀(鬼)’, ‘신(神)’ 등이 있으나 이 또한 플라톤의 ‘영혼’과 달리 영원불멸의 실체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동아시아의 체용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면, 플라톤의 ‘영혼’이 ‘본체(本體)’의 성격이라면, 성(性), 귀(鬼), 신(神) 등은 ‘작용(作用)’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또한 율곡과 주희는 기질지성(氣質之性)과 귀(鬼), 신(神)을 기(氣)의 이합취산(離合聚散)으로 보아 영원성과 불멸성을 부정하였다. 이에 비해 기독교 사상과의 교섭을 시도했던 다산의 경우에는 맹자의 사상에 근거하여 플라톤적인 ‘영혼’에 비견될 수 있는 영명지체(靈明之體)를 인간의 본체적 의미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e human ‘Soul’ in Western philosophy and Christian theology is an internal, essential, and spiritual meaning that contradicts the material and desire character of the body. In addition, this soul is “Real” inside human beings, which i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and eternal, and a transcendental object that is immortal even after leaving the body. ‘Immortality of soul Theory’ was established as a Spiritual/Physical dualistic structure in Christian thought and neo-Platonic’s Gnosticism such as Plotinos based on Plato's human theory based on ideology.
    In contrast, the concept of ‘Spirit’ in traditional East Asian culture and ideas has the meaning of ‘capability’ or ‘action’ of human nature, not the essential concept of humans. In addition, there are East Asian concepts that can be compared to Plato's “Soul” including “Nature” “Ghost” and “God”, but unlike Plato’s “Soul”, this also does not have an eternal substance.
    When analyzing Plato’s ‘soul’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s ‘The Theory of Ti-Yong’, it represents the meaning of ‘body,’ but ‘Nature’, ‘Ghost’, and ‘God’ represent the meaning of ‘action’. In addition, Yul Gok and Zhu Xi denied eternity and immortality, considering the Phsical nature, Ghost, and God as gathered and scatter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a San, who attempted to negotiate with Christian ideas, based on Mencius's ideas, the “spirit of spirit” that can be compared to Plato's “spirit” was presented in the human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