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주망명과 여성의 힘 -가사문학 <원별가라>·<위모사>·<신세타령>을 중심으로- (Manchurian Exile and Woman's Power -Centering on Gasa Literature and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1.06
30P 미리보기
만주망명과 여성의 힘 -가사문학 &lt;원별가라&gt;·&lt;위모사&gt;·&lt;신세타령&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호 / 103 ~ 132페이지
    · 저자명 : 고순희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가사문학 <위모사><원별가라><신세타령>을 대상으로 하여 만주망명 경험에 의해 여성의 힘이 변화해 나간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먼저 2장부터 4장까지에서는 작품이 창작된 순서대로 <위모사>, <원별가라>, 그리고 <신세타령>을 분석했다. <위모사>는 ‘남녀평등론자의 사회 참여 욕망과 힘’, <원별가라>는 ‘전통여성의 정체성 변화와 힘’, 그리고 <신세타령>은 ‘독립운동 지도자의 여성적 힘’이라는 측면에서 각각 분석했다. 만주망명 경험을 통해 각 작가의 자아 정체성과 힘이 변화해 나간 양상에 중점을 두고 논의했다.
    5장에서는 앞의 분석을 바탕으로 그 의미를 종합적으로 규명했다. 세 여성은 만주망명으로 인해 사회 참여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망명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이호성과 평해 황씨가 여성은 망명 결정에 대한 태도는 다르게 나타나지만 만주망명 경험을 통해 동포사회에 참여하는 여성 지도자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변화해 나갔다. 그에 따라 두 작가의 내면에는 주도적으로 자기 삶을 살아가는 ‘힘’이 형성되게 되었다. 그런데 이 힘은 외부에서 그들에게 부여한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스스로 생성한 욕망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이들의 욕망인 사회적 힘은 그후 그들에게 부여되지는 않았다. 앞의 두 작가와는 달리 윤희순은 망명 후 10여 년이 지난 상황에서 사회 참여가 실현되어 지도자로서의 사회적 힘을 부여받았다. 지도자의 정체성에 몸과 밥에 관심을 기울이는 여성적 정체성을 동시에 갖추어 위기를 헤쳐 나가는 강한 힘을 발휘했다.
    세 가사 작품은 일제강점기에 여성 작가가 단순히 민족 현실에 분노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독립운동가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내부의 힘을 축적하여 발휘하는 양상도 보여준다. 특히 식민 초기에 창작된 <위모사>와 <원별가라>는 급속한 자아 정체성의 변화와 힘의 상승을 보여주어 이 시기 전통에서 근대로의 혁신이 급속한 양상으로 전개되었음을 반영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신세타령>의 경우 지도자가 될 수 있었던 한 여성의 ‘여성적 힘’을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nging aspects of woman's power through the experience in Machurian exile and to inquire into its meaning targeting gasa literature such as <Wonbyeolgara><Wimosa> and <Shinsetaryong>.
    First of all,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Wonbyeolgara> <Wimosa> and <Shinsetaryeong> in the chronicle order of their creat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work "Wimosa" from the aspect of an equalitarian's desire and power for social participation; "Wonbyeolgara" from the aspect of a traditional woman's change of identity and power, and "Shinsetaryeong"from the aspect of womanly power of a leader of independence movement respectively by putting focus on the changing aspect of each author's self identity and power due to Manchurian exile.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a woman's changing aspects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These three women happened to get an opportunity for social participation by virtue of their Manchurian exile. The author Lee, Ho-seong and a woman of Pyonghae-Hwang family who were in their early 20s at the time of the exile,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attitude toward a woman's decision to live in exile. However, the common point in these two women was that they changed their identity as a woman leader through the experience in Manchurian exile. Accordingly, there formed a 'force' to lead their life initiatively in the inner side of these two authors. Nevertheless, this force was not given from the outside but autogenously formed inside. Afterwards, these two women authors weren't endowed with the social strength they longed for from the outside after all. Unlike the two authors, Yoon, hee-sun was endowed with the social strength as a leader in the circumstances where 10 years had passed since her exile. Thus, Yoon, hee-sun displayed strong power tiding over a crisis while being simultaneously equipped with the identity of a leader and womanly identity of paying attention to the body and f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