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인천의 주택난과 조선대가조합령 (The Housing Shortages of Incheon and the Regulation on the Housing Renter Un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9.02
51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인천의 주택난과 조선대가조합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30호 / 7 ~ 57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이 글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주택난을 인천의 사례와 조선대가조합령을 통해 살피는 실증적 연구이다. 조선대가조합령은 전시체제기에 일제가 도시의 주택난 해결을 위해 내놓은 마지막 주택관련 법령으로 지금까지 주목받지 않았는데, 이 글에서 처음 조명했다. 또한 귀속재산불하서류를 통해 극심한 주택난에도 일본인과 일본인 대가업자들이 다수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음을 규명했다.
    한국 사회의 주택난은 1920년대에 시작되어 1930년대에는 전 도시의 문제가 되었다. 인천의 주택난은 이때 시작되었다. 그 원인은 일제의 공업화정책에 있었다. 도시 주변에 공장들이 세워지면서 노동인구의 유입이 급속히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또 중일전쟁으로 전선이 확대되면서 물자부족과 배급의 불원활, 자금난 등으로 주택난은 더 극심해졌다. 건축자재는 중요 군수물자이기도 했기 때문에 가옥의 신축은 물론 증개축과 보수・수선도 수월치 않았다. 주택난은 지대와 가임 폭등으로 이어졌고, 이는 곧 생활난이 되었다.
    일제와 조선총독부는 심화되는 주택난에 ‘무대책’으로 일관했으나, 주택난에 따른 생활의 불안정이 군수물자 생산・보급의 부진으로 이어지자 1939년 총독부 안에 주택대책위원회를 설치하는 한편 지대와 가임을 고정하는 통제령을 발동했다. 주택관련 법령도 만들었다. 1941년의 조선주택영단령과 1942년의 조선대가조합령이다. 대가조합령은 민간 대가조합을 법인화하여 도지사의 통제・감독 아래 두어 가임을 적절히 받게 하되, 건축자재와 자금 등을 계획화하여 필요에 따라 할당함으로써 가옥의 신축과 증개축 등을 원활히 한다는 것이었다.
    인천부대가조합은 1942년 10월 19일 법인으로 등기 설립되었다. 대가조합 임원은 13명으로 대가업자 외에 상업・제조공업 등을 운영하는 사업가들로 구성되었다. 1938년 말경 인천의 대가업자는 160명이었으며, 그들 중에는 부회의원으로서 부정에 간여한 사람도 있었다.
    1945년 8월 해방 후 일본정부와 일본인들의 재산은 미군정에 귀속되었다가 3년 뒤 대한민국의 국유재산으로 돌아왔다. 국가기록원에 존안된 인천의 국유재산불하서류는 5,000~7,300여 건이다. 필자가 수집 정리한 인천 중앙동과 송학동의 국유주택불하서류 증 330건은 주택(대지와 점포 포함)이고, 전 일본인 소유자는 144명이었다. 인천부대가조합 임원 4명이 그 중 33채(10%)를 소유했고, 2채 이상 소유자 59명이 246채(74.5%)를 소유하고 있었다. 또 시가지계획으로 송현동과 화평동에서 조선인 가옥 900여 호가 헐려나갔는데, 그 2개동의 국유재산불하서류는 1,961건으로 헐려나간 가옥의 두 배가 넘었다. 극심한 주택난에도 불구하고 일본인과 일본인 대가업자들은 다수의 가옥을 소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바탕에는 일제와 총독부 당국의 ‘무대책’한 주택정책과 대가조합에 대한 ‘특혜’가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housing shortages of Incheon and the Regulation on the Housing Renter Un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gulation on the Housing Renter Union was a housing related ordinance enforced in wartime, which is the first topic addressed in this study.
    The housing shortages in Korean began in the 1920s and became a social problem for the whole cities in the 1930s. The housing shortages of Incheon began at this time. The cause was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s the factories were built around the cities, the influx of the working population has progressed rapidly. In addition, as the front line of war expanded due to the Sino-Japanese War, the housing shortage became even more severe due to lack of supplies and disorders of distribution and financial difficulties. Because the Building materials were also important military supplies, maintenance and repair were not easy as well as new construction of houses. The housing shortage led to a sharp rise in land and housing rents cost, which soon became a deficiency of living.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gave no response to the growing housing shortages, but only in 1939 when the housing shortages caused a setback in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military supplies, it issued a regulation to set up a housing task force within the Government-General's office and to fix the land and house rent cost. Housing related laws were also enacted in 1940s. Those are the Regulation on the Housing Corporation of 1941 and the Regulation on the Housing Renter Union of 1942.
    The Housing Renter Union in Incheon was founded on October 19, 1942. The chief executive members of the Union consisted of 13 persons, who are the business executives operated commercial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in addition to the Housing Renters. There were about 160 the housing renters in Incheon in the late 1938, and some of them were involved in the city policy as members of the Incheon Council.
    After the liberation in August 1945, the Japanese properties were transferred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returned to the state property of the ROK three years later. Some 5,000 to 7,300 documents of Incheon were found in the National Archives. The 330 documents in Jungangdong and Songhakdong that I collected were the houses, and the former Japanese owners of 330 are 144 persons. Four executives of the Housing Renter Union in Incheon owned 33 of 330(10%), and 59 persons of two or more owned 246 of 330(74.5%).
    About 900 Korean houses in Songhyundong and Whapyeongdong were torn down according to the urban planning, and the Japanese properties of two towns are 1,961 more than double that had been demolished. Despite the severe housing shortages, the Japanese and the Japanese housing renters had a large number of houses. On the basis of this, there were “no-policy for housing shortage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preferential treatment" for the Housing Renter Un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