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1911~1921) 조선인 초등교원의 양성과 임용 (The Training and Hiring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Period of the First Chosŏn Educational Ordinance(第1次朝鮮敎育令 1911~1921))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1911~1921) 조선인 초등교원의 양성과 임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25호 / 115 ~ 153페이지
    · 저자명 : 김광규

    초록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actual content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policy on training, hiring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rst Educational Ordinance.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policy on train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cused only on the intensive training courses for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hired teachers with low payment to reduce the budget. In addition, they introduced the examination of qualification for the school teachers, which was the cheapest way of recruiting qualified teachers without any training courses. If it was necessary to fost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established provi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which prospective teachers would take the short-term crash courses or just hired the untrained teachers to meet the needs despite their lack of qualification.
    In the beginning of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bolished the colleges of education which were established during the pre-colonial period, and instead fostered the school teachers by training in the short-term crash courses.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the colonial government enforced ‘the project of extension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hich intended to fill up vacancies of teachers by fostering large numbers of teachers in short period.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actual content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policy on training, hiring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First Educational Ordinance.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policy on train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cused only on the intensive training courses for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hired teachers with low payment to reduce the budget. In addition, they introduced the examination of qualification for the school teachers, which was the cheapest way of recruiting qualified teachers without any training courses. If it was necessary to fost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established provi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which prospective teachers would take the short-term crash courses or just hired the untrained teachers to meet the needs despite their lack of qualification.
    In the beginning of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bolished the colleges of education which were established during the pre-colonial period, and instead fostered the school teachers by training in the short-term crash courses. After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the colonial government enforced ‘the project of extension of the elementary education’, which intended to fill up vacancies of teachers by fostering large numbers of teachers in short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