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芚山 妙蓮庵 목조관음보살상과 조각승 교류를 통해 본 無染 작풍 연구 (A Study on Muyeom’s Style through the Wooden Avalokitesvara Statue at the Myoryeon‐am Temple in Mt. Daedun and His Exchange with Monk Sculpto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大芚山 妙蓮庵 목조관음보살상과 조각승 교류를 통해 본 無染 작풍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5호 / 165 ~ 190페이지
    · 저자명 : 김창균

    초록

    본 논문은 신발견 대둔산 묘련암 목조관음보살상(1649)을 포함한 ‘무염’작풍 의 본격적인 연구로서, ‘무염’이 책임화원을 맡아 조성한 불상조각 10건에 보이는 조각승들의 교류와 작풍을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의 연구와는 다르게 네 가지로 유형분류를 시도해 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의 원활한 연구를 위하여 묘련암 관음보살상 복장품 중의 「불상조성기」와 「개금중수기」에 대한 분석과 함께 ‘무염’이 조선시대 후반기 불교조각사에서 차지하는 위치 또한 밝혀보았다. 1633년 이후 1650년대 초반에 최고조에 달했던 ‘무염’은 이 시기의 대표적 유파로서 조선시대 조각승 유파 중 가장 큰 규모의 ‘무염파’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이후‘무염’은 1650년-1660년대의 ‘도우’와 ‘해심’으로 이어지고 1660년—1690년대에는 성일, 색난, 충옥 계열에 영향을 주는 등 조선시대 17세기불교조각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비록 1630년대 이전 활약상을 밝히는 자료 발굴이 아쉬움으로 남기는 하지만 최근 발견 자료까지를 망라한 ‘무염’의 종합자료라는데 의미가 있으며, 또한 묘련암 상 발견과 더불어‘무염’불상 조성현황을 통한 본존불 중심의 주제별 도상을 파악해 보았다는 점, 그리고 화승들의 교류에 따른‘무염’작풍의 새로운유형분류를 시도해보았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serious research on the style of Muyeom’s works including the newly found Wooden Avalokitesvara Statute (1649) at the Myoryeon‐am Temple in Mt. Daedun, and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ttempted to classify his works into four types by analyzing his associations with other monk sculptors and his styles observed in 10 Buddhist statues created under his direction. For this study, Buddhist Statue Creation Record and Repair Record found in the body of the Avalokitesvara Statue at the Myoryeon‐am Temple were analyzed, and the position of Muyeom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 in the late half of the Joseon Dynasty was explained. Muyeom, who began his work at latest in 1633 and reached the peak of his career in the early 1650s, formed the Muyeom School that was a representative school in those days and the largest one of the monk sculptor schools in the Joseon Dynasty. Muyeom was followed by Dowoo and Haesim in the 1650s and 1660s, and he also influenced the lines of Seongil, Saeknan, and Chungok in the 1660s through 1690s. In this way, Muyeom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 in the 17th century. Although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dig out materials on his works before the 1630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d materials on Muyeom including recently found ones, that, along with the finding of the statue at the Myoryeon‐am Temple, it analyzed the icons of main Buddha statues by theme through examining Muyeom’s creation of Buddha statues, and that it classified the styles of Muyeom’s works according to his association with other monk pain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