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晉陽聯藁』의 문헌학적 연구 ―초간본을 중심으로― (Philological study of Jinyangyeongo : Focusing on the first edi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3.12
42P 미리보기
『晉陽聯藁』의 문헌학적 연구 ―초간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7권 / 77호 / 303 ~ 344페이지
    · 저자명 : 장연수

    초록

    이 논문은 晉陽河氏의 世稿 『晉陽聯藁』를 문헌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글이다. 『진양연고』는 松軒 河楫(1303~1380), 苦軒 河允源(1322~1376), 木翁 河自宗(1350~1433), 敬齋 河演(1376~1453), 蓮塘 河友明(1413~ 1493)의 遺文이 차례로 수록되어 있으며, 1609년에 해인사에서 목판으로 처음 간행되었다. 편찬자는 暮軒 河渾(1548~1620)이다. 『진양연고』는 보편적인 세고와 마찬가지로 선조의 유문이 일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편찬하였다. 다만 이른 시기에 간행된 세고라는 점, 왕실 인물, 경상도 관찰사, 경상도 도사, 동래 부사 등이 간행에 관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진양연고』는 1859년, 1907년에도 중간되었지만 구성과 내용은 거의 동일하므로 본고에서는 초간본의 편찬상의 특징 및 간행 경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초간본의 구성과 편찬 배경을 살펴 『晉陽河氏世譜』와 표리를 이루어 가문의 위상을 제고하려는 의도 하에 『진양연고』가 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가장되어 오던 시문 외에 다양한 문헌에서 조상의 흔적을 수집하였음을 밝혔다. 대표적으로 『晉山世藁』, 『筆苑雜記』, 『海東名迹』, 『東國輿地勝覺』 등이 있는데 특히 『진산세고』의 구성 방식을 차용하였으며 『해동명적』의 유묵을 번각해 수록한 것은 동시기 세고에서 발견할 수 없는 특징이다. 또한 간행에 참여한 각 인물과 편찬자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이러한 『진양연고』의 간행 방식이 일반적인 문집 간행의 사례와는 사뭇 다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해인사라는 장소성도 주목할 만한데, 『진양연고』가 간행된 사실을 통해 1609년 덕천서원이 사액되기 전에 남명학파의 출판 거점으로 해인사가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간본이 몇 차례 교정되었음을 보여주는 단서를 찾아내어 완정한 세고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재구하였다. 이상의 사항들은 조선 중기 세고 편찬의 일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헌학적으로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philological review on Jinyangyeongo of Jinyang Ha family. Jinyangyeongo has been first published in woodblock print at Haeinsa in 1609, and, it is covering Songheon Ha Jeup(1303~1380), Koheon Ha Yoonwon(1322~1376), Mokong Ha Jajong(1350~1433), Kyungjae Ha Yeon(1376~1453) and Yeondang Ha Woomyung(1413~1493) in order. The complier of Jinyangyeongo is Ha Hon(1548~1620). Jinyangyeongo, like the general Sego, was compil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literary works of the ancestors. However, it is notable in that it was published in an early period, and that royal person, Gyeongsang-do provincial governors, Gyeongsang-do county governors, and Dongnae county governors were involved in its publication. Although Jinyangyeongo was revised in 1859 and 1907, the composition and content are almost the sam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history of the first edition.
    First,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compilation background of the first edition, it was confirmed that Jinyangyeongo was published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status of the family by aligning with Jinyang- hassisebo. Next, it was confirmed that traces of ancestor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documents in addition to the poems which was mostly commende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Jinsansego, Pilwonjapgi, Haedongmyeongjeok, and Donggukyeojiseungram. In particular, it adopted the composition method of Jinsansego, and collected the calligraphies in Haedongmyeongjeok, which is a feature that cannot be found in Sego of the same period.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and the compil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ation method of Jinyangyeongo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case of publishing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lso, the location of Haeinsa is noteworthy, and the fact that Jinyangyeongo was published confirms that Haeinsa was used as a publishing base for the Nammyeong School before Deokcheonseowon was royally chartered in 1609. Lastly, this study includes review of the process to create a complete Sego, by founding clues showing that the first edition was revised several times. The above details have certain philolog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allow us to confirm in detail one aspect of the Sego in the mid-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