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련초해(百聯抄解)』 연구(Ⅱ) – 동경대본(東京大本)의 음운과 어휘를 중심으로 – (A Study of 『Baekryeonchohae(百聯抄解)』(Ⅱ) - Focusing on Phonemes and Vocabularies in the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4.09
28P 미리보기
『백련초해(百聯抄解)』 연구(Ⅱ) – 동경대본(東京大本)의 음운과 어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4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김무봉

    초록

    『백련초해』는 칠언의 고시(古詩) 중에서 연구(聯句) 100수를 가려 뽑아 한글로 번역·간행한 책이다. 현재 십여 종의 이본이 전한다. 이본마다 번역 체제, 연구의 수, 편연(編聯) 순차 등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다. 한문만으로 된 책도 있다. 이 논의에서는 간행 연대가 가장 오래된 책으로 짐작되는 동경대 소장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1권 1책의 목판본인 동경대본은 다른 이본들과는 달리 한시(漢詩)의 각 글자마다 밑에 새김인 자석(字釋)과 독음(讀音)을 적고 행을 바꾸어 번역문을 둔 형식이다. 이러한 형태는 이 책이 한시 학습서라는 성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간행 연대는 16세기 후기로 짐작되는데, 당시에 간행된 다른 언해본들과는 언해체제 등에서 차이가 난다. 구결문을 따로 두지 않고 2행에 걸친 시문이 끝나면 행을 바꾸어 한 행에 작은 글자 두 줄로 번역문을 둔 것이다. 번역문에는 한자를 쓰지 않았다. 여기서는 번역문의 표기와 음운, 그리고 희귀어(稀貴語) 와 난해어(難解語)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동경대본 『백련초해』는 16세기 후기에 간행된 책으로 추정하지만 한자음이나 한글에 방점이 찍혀 있지 않다. 표기의 특징으로는 ‘ㅿ’이 한자 독음과 고유어 표기 모두에서 보이고, 음절말에 ‘ㆁ’을 쓰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어두자음군 중 15세기에 ‘ㅵ’자와 ‘ㅴ’자로 쓰였던 일부의 글자가 ‘ㅺ’이나 ‘ㅲ’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인다. 앞 시기에 예사소리였던 초성 ‘ㄱ’이 ‘ㅺ’으로 표기되는 등 된소리화를 반영한 예도 있다.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과 용언 어간 다음에 모음의 조사나 어미가 오면 대체로 앞선 시기와 같이 연철했다. 부분적으로 분철표기를 하거나 중철표기를 한 경우도 있다. 음운현상 중 구개음화가 반영된 형태는 고유어나 한자어 모두에서 보이지 않는다. 다만 자음동화가 반영된 표기는 일부 볼 수 있다. 설측음화를 반영한 표기, ‘ㅣ’모음 역행동화를 반영한 표기도 있다. 원순모음화를 반영한 표기의 예도 보인다.
    이 책에는 시문의 한자마다 새김인 자석(字釋)이 있어서 당시의 어휘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 새김 중에 광주판 『천자문』과 일치하는 요소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경대본 『백련초해』에 전라방언형이 반영되어 있고, 이 책의 간행지가 장흥이라는 추정을 유력하게 해 주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 책에는 희귀어 및 난해어가 적지 않다. 그동안 규명이 쉽지 않았던 ‘짓혓다[倚]’, ‘발아이시니[當]’ 등 11개의 어휘를 대상으로 그 의미를 밝혔다. 아울러 번역문 구성의 특징을 밝혔다. 이 책에 실려 있는 시들은 대부분 칠언고시의 함연(頷聯)과 경연(頸聯)에서 발췌한 것들인데, 연구 안에서 다시 전구(前句)와 후구(後句)가 대(對)를 이룬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전구는 대등적 연결어미 ‘-고/오’로 끝나고, 후구는 감동법 선어말어미 ‘-도-’ 및 ‘-옷-’에 종결어미 ‘-다’가 통합된 구성이다. 후구의 종결은 ‘-도다/로다/다’ 또는 ‘-놋다/놋’형 어미로 마무리되는 단조로운 형식이 많다.

    영어초록

    In this research, I have examine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a 『Baekryeonchohae (百聯抄解)』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Baekryeonchohae』, which i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Hangeul. This edition consists of 100 poems excerpted from 7-word ancient poems(七言古詩). In other words, 『Baekryeonchohae』 is the translated book of Chinese poems. Currently, more than 10 editions of various 『Baekryeonchohae』 exist.
    Among these various editions, the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is the oldest one. This edit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editions in terms of Eonhae(諺解) system. In other words, a translation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other editions. In the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there are explanations and articulation under the each Chinese characters, and translated sentences are accompanied. The inferred publication year is late 16th century. In translated sentences, chinese characters are excluded. In this research, I have discussed the notations of translated sentences, phonemes, rare vocabularies(稀貴語), and abstruse vocabularies(難解語).
    In the 『Baekryeonchohae』 edition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there isn’t any side-dot(傍點). The characteristics of notations are as follows. ‘ㅿ’ is used for both notations of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ㆁ’ is used at the end of syllables, too. Also, I have examined usage characteristics of consonant notations. In this edition, liaison spellings is used generally when postpositional particles beginning with a vowel follow a stem of a substantive ending with a consonant or endings beginning with a vowel follow a stem of a predicate ending with a consonant. There isn't any palatalization notation. There are several notations adopting consonant assimilations. Also, there are notations related to a lateralization and a ‘ㅣ’ vowel reverse assimilation. In addition, there are notations adopting rounded-vowelization.
    This book includes a lot of rare vocabularies and abstruse vocabularies. I have revealed the meaning of the 11 vocabularies, which have not been clearly investigated. Also, I have reveal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ed sent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