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여성 노동자의 계급적 상상력 (The Class Imagination of Female Workers in 1970s’ Korean Cinem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2.11
30P 미리보기
197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여성 노동자의 계급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21호 / 45 ~ 74페이지
    · 저자명 : 이수연, 이충직

    초록

    1970년대 영화계는 끊임없이 불황과 ‘질적 저하’라는 오명 속에서 싸워야 했다. 때문에 1970년대 영화들은 유사한 상상력을 대량으로 복제해냈으며, 이러한 장르적 상상력은 비개봉관을 중심으로 구직을 위해 대도시로 올라온 하위 계급 노동자들과 청소년들에게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각인되었다. 따라서 1970년대 한국영화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1970년대 노동자’와 ‘장르적 상상력’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들 가운데에서도 이 글이 여성 노동자라는 특정 집단에 집중하고자 하는 이유는 이들이 그만큼 독특한 성격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여성의 활동은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 안에 제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경공업 중심의 산업화 사회에서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노동력을 공적 영역으로 와야 했고, 이에 따라 여성에 대한 대중적 담론과 이데올로기를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들을 유용한 노동자군으로 만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이들에 대한 ‘성적 통제’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1970년대의 10~20대 여성 노동자들은 여성으로서 자신들의 섹슈얼리티를 둘러싸고 만들어진 사회적 담론들 속에서 엄청난 모순을 느끼면서도 동시에 그것을 내면화하여 여성이자 노동자로서의 독특한 정체성을 구축해나갔다.
    이와 같이 1970년대 여성 노동자들이 스스로를 하나의 계급으로 상상하는 방식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먼저 당시 여성 노동자들의 생활과 그들과 관련된 몇몇 개인적인 진술들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들이 사회적으로 이미지화 되는 방식이나 이들을 둘러싼 담론이 형성되는 방식의 상징적 차원은 당시의 신문 기사들 속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이는 실제의 그녀들에 가깝지는 않을지 몰라도 적어도 대중적으로 그녀들이 어떻게 이미지화 되고 상상되었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구체화 된 여성 노동자들의 정체성이 영화 속에는 어떻게 재현되고 있었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재현의 차원이 어떻게 당시 여성노동자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일종의 상상적 차원으로 작용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특히 1970년대에 나왔던 멜로드라마 영화들을 주요한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영어초록

    1970s’ Korean cinema constantly fought with business depression and ‘qualitative decline’. So 1970s’ cinema made a reproduction of same imaginations, which were imprinted to subordinate workers and youths who come up to Seoul for finding a work, around non-first-run theater. Therefore, the relationship with ‘1970s’ labor’ and ‘genre imagination’ is very important to enter into the substance of comtemporary Korean cinema.
    Especially I focused on the particular group of female workers. For a long time, women activity was limited to private sphere. But in the term of light industrial society female labor was necessary to make good the shortage of male labor, thus public discourse and ideology on women were newly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as a way of organizing her to the useful working class, 'female sexuality' was controlled by society. Consequently, 1970s' female workers of the youth internalized and forged the special identity both of woman and worker in the contradiction between own her feminity and the social discourse.
    Likewise for I give shape to how 1970s' female workers imagine themselves as a particular class, I will search on the oral life history about the comtemporary female worker's reality. And I will look for them the methods of imagery, composition of discourse in the then journal article. Although these is not close to real life of them, at least I will suggest for how to imagine them with the wider public. Futhermore I trace to the mode of representation of female workers in 1970s’ Korean cinema, and ultimately the mode of interaction between filmic representation and real identity of them. To achieve this, I target at the melodrama genre in 1970s’ Korean cine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