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론 연구-구축의 맥락과 잠재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Oh Kyu-Won’s Poetics of ‘Raw Image’-Focusing on the context of construction and the potentia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3.08
28P 미리보기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론 연구-구축의 맥락과 잠재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7권 / 3호 / 99 ~ 126페이지
    · 저자명 : 김영범

    초록

    이 연구는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론을 규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그가 김수영과 김춘수라는 두 선배 시인을 어떻게 수용하고 극복했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우선 오규원이 ‘날이미지’ 시론을 모색하게 된 단초들을 살폈다. 관념의 보편성과 언어의 추상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축적은 그에게 구체적 사물이나 현상 등을 매개로 세계의 실체를 포착하는 방법을 찾게 했다. 이 일에는 전대 시의 ‘이미지’가 가진 문제점이나 순수·참여 논쟁의 틀에 얽매인 문단의 현실에 대한 비판이 동력으로 작용했다. 오규원은 ‘은유적 언어체계’의 대안을 모색하면서 그의 후기 시론을 구축해 나갔다. ‘환유적 언어체계’에 대한 주목에 이은 ‘날이미지’라는 술어의 도입은 기존의 관념과 언어로 왜곡되고 고정된 세계 인식을 전환하려는 시도였다. ‘현상’으로 실재하는 세계를 있는 그대로 시화하겠다는 사유를 담은 시론을 구상하면서, 그는 선불교를 위시한 다양한 전거들을 참고하여 자신의 시론에 정당성을 부여해 나갔다. 김춘수의 ‘무의미시’와 자신의 ‘날이미지시’를 차별화하는 작업이 여기에 병행되었다. 그리고 그의 후기 시론은 ‘반주체’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주체 중심의 인식이 가진 한계에 대한 자각에 기인한 것이었고, 실제로 그는 상호주체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즉 ‘날이미지시’는 독자들의 심리(心裏)에서 완성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시인은 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그가 ‘날이미지시’의 창작 방법과 ‘날이미지’의 구성 방식 등을 제시한 이유는 자신의 시와 시론이 이해받기를 원해서일 것이다. 한편 바람과는 달리 그의 시론은 ‘은유적 언어체계’를 벗어날 수 없다. ‘날이미지시’가 담아내는 세계의 경이는 그 자체로 그의 시론이 목표로 삼은 것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세계를 향한 관습화되지 않은 시각의 마련이나 관념과 감정을 탈색하여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시의 영역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그의 시론은 독자성을 획득했다고 평할 수 있다. 더불어 ‘날이미지’ 시론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통해 그가 제안한 창작 방법론이 창조적으로 계승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영어초록

    Due to his negative perception of the universality of ideas and the abstractness of language, Oh Kyu-won tried to find a way to capture the reality of the world through concrete objects or phenomena. The motive for doing so was the problem of the 'image' of the previous poetry and the debate "Pure Literature-committed Literature" bound by the framework of the participation debate worked. Oh Kyu-won built his later poetics while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to the 'metaphorical language system'. Following the attention on the ‘metonymic language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predicate ‘raw image’ was an attempt to convert the distorted and fixed perception of the world into existing ideas and language. He conceived a theory of poetry that contained the reason for poeticizing the world that exists as a 'phenomenon' as it is. He gave legitimacy to his theory of poetry by referring to various sources including Seon Buddhism. And his later poetry theory emphasizes 'anti-subject', which was due to the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of subject-centered cognition, and he actually had mutual subjectivity in mind. In other words, 'raw image poetry' was completed in the minds of readers. The reason why he suggested the creation method of ‘raw image poetry’ and the composition method of ‘raw image’ is probably because he wanted his poetry and theory to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unlike hope, his theory of poetry cannot escape from the 'metaphorical language system'. This is because the wonder of the world contained in ‘Nal Image Poetry’ itself reveals the ‘meaning’ that his poetry theory aimed at. Nevertheless, his poetic theory can be evaluated as having acquired its originality in that he has pioneered a new field of poetry that can be obtained by preparing an unconventional view toward the world or by decolorizing ideas and emotio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reative methodology proposed by him can be inherited creatively through critical reading of his poetic theory of ‘raw im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