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인훈의 태풍에 나타난 시대착오와 평행세계의 상상력 (Imagination of Anachronism and Parallel-world in Choi In-Hoon's Tempes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6.06
31P 미리보기
최인훈의 태풍에 나타난 시대착오와 평행세계의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학 / 51호 / 69 ~ 99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성

    초록

    본고의 목적은 최인훈의 1970년대 작품의 경향 속에서 장편소설 ≷태풍≸에서 드러나는 의도적 시대착오(anachronism)의 수사적 활용과 그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우선 ‘시대착오’와 ‘동시대성’(synchronism)의 개념을 경유하게 될것이며, ≷태풍≸이라는 서사 내부에서 시간성이 작동하는 양상에 대하여 논의하게될 것이다. 이때의 시대착오는 단순히 인지적인 오류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시대성이라는 역사적이고 시간적인 현실인식을 비틀거나 해체하는 의도적인 시도를 가리킨다.
    무엇보다도 ≷태풍≸이라는 텍스트는 ≷광장≸에 대한 일종의 유사(pseudo)-평행 세계에 가깝다. 이것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평행세계가 아니라 다분히 타협적인 결과물이며, 다중우주(multiverse)보다는 다중자아(multi-self)를 구성하기 위한 시도 이기 때문이다. 30년의 시간을 되돌리는 방식으로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이 선택할 수 없었던 ‘다른 과거’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주인공 오토메나크는 기존의 일본인도 한국인도 아닌 완전히 새로운 정체성을, 다중적으로 열린 정체성을 수용하게 된다. ≷태풍≸에서의 시간적 조작은 무엇보다도 1970년대의 시대성 내부에서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자기정립의 문제와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최인훈에게 있어서 시대착오는 세계의 총체성을 구성하기 위한 시간적 조작이라 할 수 있는 ‘동시성’(synchronicity)을 위한 모더니즘적 기획의 때늦은 시도로서 나타난다. 그러나 1970년대에 이르러 이러한 시도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는 직접적인 시대성과 씨름하는 와중에 타협적인 결과로서 산책자의 시선이 강조된다. 그리고 ≷태풍≸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시도가 완전한 실패에 도달했다는 불가피한 결론을 다른 성공의 판본으로 굴절시 키는 시도로 비화한다. 이를 위해서 극단적으로 30년의 시간을 되돌리는 평행세계의 시도가 수행되는 것이다. 최인훈은 비판적으로 시대성을 바라보기 위하여 동시 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시도는 자기규정의 변증법에 지나치게 얽매여 있으며 그것을 극복하지 못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at studying rhetoric expressions of intended anachronism and their effect in In-Hoon Choi’s novel, Tempest, regarding tendency in Choi’s works from 1970s. Within this purpose, both concepts of anachronism and synchronism will be discussed first. Then, the aspects of how temporality(zeitlichkeit) is working in narration of Tempest is going to be studied as well.
    Anachronism, in this case, rather means Choi’s intention to twist or dissolve historical and temporal awareness of a reality, temporality than indicates simple cognitive error.
    Above all things, text of Tempest is important as a sort of pseudo-parallel world of The Square. This is not a parallel world in the true sense of the term, but a compromising result as it is a kind of attempt to constitute multi-self rather than multiverse. In Tempes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Square, Myung-June Lee, could have been able to choose a different choice by turning back time of 30 years. Within these context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empest, Otomenak, accepted neither Korean one nor Japanese one but a thoroughly new identity, multi-faceted open identity. Temporal operation in Tempest was strongly connected to a matter of self-establishment that has still not been solved in inner structure of temporality of 1970s.
    In Choi’s works, anachronism was a belated attempt for modernism design for synchronicity, as temporal operation, aiming at constituting totality of the world. In 1970s, eventually this attempt was no longer possible. As a result, while Choi directly dealt with temporality, a point of view of promenade was emphasized as a compromising result in A Day of Novelist Mr. Koo-bo’. Thereafter in Tempest, this unavoidable conclusion, that his attempts have been failed, created a new attempt to bend this failure into another success. In order to do this, Choi tried a parallel world, where there is going back in a 30 year period of time. On the one hand, it seems Choi made the best use of synchronism to handle temporality in a critical viewpoint, however, he has never overcome it as his attempts were tied down to dialectic of self-reg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