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상(李箱)의 초기 시에 나타난 상형문자적 상상력 (Hieroglyphic imagination in LeeSang's early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3.06
35P 미리보기
이상(李箱)의 초기 시에 나타난 상형문자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39호 / 243 ~ 277페이지
    · 저자명 : 김흥년

    초록

    이상의 작품은 시, 소설 할 것 없이 거의 전기적(傳記的) 내용을 바탕으로 쓰였다. 그러니 시와 시, 시와 소설, 소설과 소설 간에서도 일관된 텍스트-상관성이 발견된다. 이런 텍스트-상관성은 이상의 시에서 풀기 어려운 상징적 기호를 해석하는 데 무척 요긴하다. 따라서 이 소론은 이상의 소설에 나오는 결혼 전의 이야기와 그의 초기 시를 비교해 △나 ▽같은 도형의 상징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했다.
    건축 기사인 이상의 별난 투시벽(透視癖)이 그의 소설과 시 간(間)에도 작용한 듯하다. 그의 초기 시는 그의 결혼 전 이야기의 ‘조감도(鳥瞰圖)’같이 그려졌다. 이상의 시에 나온 △나 ▽은 마치 글자처럼 의미 작용을 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상의 시에 나타난 이런 상상력을 상형문자적이라 부르고자 한다. 이것이 단순한 타이포그래픽(typographic) 상상력이 아니라는 증거가 바로 「異常한 可逆反應」이라는 시(詩)다.
    이상의 초기 시에서 상형문자적 상상력을 발견한 이 소론으로 필자는 이상의 결혼 전 연애사까지 덤으로 건질 수 있었다. 또한 필자는 이상이 1930년경 몸소 겪은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론(新女性論)을 간과할 수 없었다. 이상의 초기 연애사는 필자에게 대뜸 키에르케고르의 『유혹자의 일기』까지 생각나게 했다. △나 ▽은 이상의 초기 여성관이 지닌 그런 ‘유혹자’의 모순적 감정의 상징이다.
    이 소론으로 이상의 초기 시나 결혼 전 이야기에까지 무차별적으로 가해지던 프로이드식 범성욕주의적 해석은 지양돼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李箱)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든 연애에 서투른, 꽁뜨(Comte)가 말한 그런 ‘형이상학적’ 소시적(少時的)은 있기 마련 아닌가? 누구나 이상이 쓴 ‘유혹자의 일기’가 죽음을 위장한 ‘金칠’인 줄 모르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영어초록

    Most LeeSang's works were written based on his biographical story without distinction of poems and novels. Therefore is consistently found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m and poem, between poem and novel, between novel and novel. Such intertextuality is very useful in interpreting the symbolic signs of LeeSang's poems which is hard to understand. So this treatise compared LeeSang's early some poems to his some novels derived from the unmarried life story, in order to reveal the symbolic meanings of signs such as △ or ▽.
    Architect LeeSang's eccentric projecting habit seemed to work also between his poems and his novels. His early some poems were drawn as bird's-eye view of the novels telling his times before marriage. In LeeSang's poems, △ or ▽ makes significations like alphabets. I hope to call consequently LeeSang's poetic imagination as hieroglyphic. A poem <Strange reversible reaction> is an evidence that LeeSang's poetic imagination is not only typographic.
    This treatise found LeeSang's hieroglyphic imagination in his early some poems. It told me about LeeSang's early romances also. I could not overlook the feminism of colonial Korea in 1930's. LeeSang experienced it lively. LeeSang's early romances novels even reminded me of Kierkegaard's ≪Diary of a Seducer≫. △ or ▽ symbolizes 'a seducer's ambivalence that LeeSang's early view of womanhood evolves.
    This treatise could order the freudians to abstain their pan sexualism interpretations indiscriminately applied to LeeSang's early some poems and his early romances novels. Isn't it ordinary that everyone as well as LeeSang has his clumsy boyhood in love that Comte called as 'metaphysical stage'? Is there anyone who doesn't know that LeeSang's diary of a seducer is the golden fakery of his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