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상선수와 지도자가 인식하는 경기력 영향요인 중요도 (Hierarchical Importance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rack and Field Athletes and Coach)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4.05
12P 미리보기
육상선수와 지도자가 인식하는 경기력 영향요인 중요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35권 / 2호 / 71 ~ 82페이지
    · 저자명 : 김덕현, 임송이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육상선수의 경기력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경기력 영향요인에 대한 선수와 지도자의 중요도를 탐색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2023년 대한육상경기연맹에 등록된 성인육상선수 86명이 구글을 활용한 개방형설문, 성인육상선수 10명, 지도자 10명이 클라우드 사회과학연구 자동화 설문지를 활용한 계층분석을 토대로 자료를 제공하고 수집한 자료를 귀납적 내용분석과 계층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육상선수는 신체준비, 심리안정화, 시합환경, 경기운영을 경기력 영향요인으로 인식한다. 신체준비는 충분한 훈련, 부상관리, 몸 관리, 영양섭취, 심리안정화는 심리기본기, 정서조절, 인지조절, 목표설정, 시합환경은 날씨, 경기장 조건, 분위기, 경기운영은 컨디셔닝, 경기전략, 지도자소통으로 구성된다. 둘째, 육상선수는 신체준비, 심리안정화, 경기운영, 시합환경 순으로 경기력 영향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이는 충분히 훈련된 상태, 심리안정화 기반 목표 달성, 지도자와 소통, 날씨 도움을 선수가 중요하게 인식함을 의미한다. 셋째, 육상 지도자는 신체준비, 심리안정화, 경기운영, 시합환경 순으로 경기력 영향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이는 충분히 훈련된 상태, 최적의 컨디션 조절, 심리안정화기반 목표 달성을 지도자가 중요하게 인식함을 의미한다. 넷째, 경기력 영향요인 일반영역에서 선수와 지도자는신체준비, 심리안정화, 경기운영, 시합환경 순으로 중요도를 동일하게 인식하며 세부영역에서 지도자는 신체 상태에 주목하며, 선수는 신체, 심리, 경기운영, 환경의 조화를 중요하게 인식한다. 결론: 육상 지도자는 신체적 준비에 초점을 두며, 선수는 자신의 신체적 준비를 적절한 상황에서 충분히 적용할 수 있는 것에 주목한다. 본 연구가 육상 지도자와 선수의 상호이해의 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rack and field athletes and to investigate the perceived hierarchical importance of these performance factors among both athletes and coaches. Methods: In 2023, 86 adult track and field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AAF participated in an open-ended survey conducted using Google. Additionally, 10 adult track and field athletes and 10 coaches provided data through hierarchical analysis using a cloud-based social science research automation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Results: First, track and field athletes identified physical prepar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competition environment, and competition management as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Physical preparation included adequate training, injury management, body maintenance, nutrition intake, while psychological stability encompassed psychological fundamentals, emotional regulation, cognitive control, and goal setting. Competition environment included weather, field conditions, atmosphere, and competition operation, which consisted of conditioning, game strategy, and coach communication. Second, athletes considered physical prepar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competition management, and competition environment in descending order of importance for their performance. This signifies that athletes prioritize being well-trained, achieving goals based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oaches, while considering weather conditions as essential. Third, track and field coaches perceived physical prepar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competition management, and competition environment in the same order of importance as athletes. This indicates that coaches also prioritize the athletes being well-trained, achieving goals based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optimal conditioning. Fourth, in the general domain of performance factors, both athletes and coaches perceive the importance of physical prepar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competition management, and competition environment in the same order, but within specific areas, coaches emphasize the athletes’ physical condition, while athletes place importance on the harmony of physical, psychological, competition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clusion: Track and field coaches place their emphasis on physical readiness, while athletes focus on their ability to apply their physical preparation effectively in the right contex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source for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rack and field coaches and athle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