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과 문예적 창의성: — 허구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terary Creativi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1.11
33P 미리보기
인공지능과 문예적 창의성: — 허구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8권 / 4호 / 93 ~ 125페이지
    · 저자명 : 윤주한

    초록

    본고는 ‘인공지능이 창의성을 갖출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적절하게 다루는 하나의 방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기획되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창의성의 개념을 명료화 하는 것이다. 나는 창의성을 ‘새로운 산물을 산출하는 체계적인 인과적 기능을 수행하는 심적 능력’으로 정의하고, 우리가 심적 능력에 대한 기능주의를 고려해볼만한 철학적 상정으로 인정한다면, 이를 디딤돌삼아 인공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고찰을 시작해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예술 창작 인공지능의 사례로서 현재 가장 발전된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들 중 하나인 GPT-3의 현주소를 다룬다. GPT-3는방대한 양의 학습과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는) 인간의 것과 거의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의 글을 생산해낸다. 그러나 GPT-3는여전히 문예 ‘작품’을 생산해낼 수 있는 수준의 창의성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러한 관찰을 토대로 본고는 인공지능이 문예 작품을 생산해낼수 있는 수준의 창의성에 이르기 위해서는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를검토한다. 나는 문예적 창의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허구 세계’를 (재) 구성하고 재현하는 능력, 즉 허구적 상상력이 전제되어야 함을 논증하고, ‘가능세계 상자’ 모델을 통해 허구적 상상의 메커니즘을 밝힌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way to properly deal with the question of 'Can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creativity?' Firstly, to answer this question, the concept of creativity is clarified. I define creativity as a mental ability to perform a systematic causal function to produce novel products or ideas, and argue that if we recognize functionalism as a philosophical assumption worth considering, we can start discu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making this assumption a steppingstone.
    Next, as an example of art-cre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I scrutinize where exactly GPT-3, one of the most advanc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stands. GPT-3 produces writings that are (partly) almost indistinguishable from humans’ due to vast amounts of learning and parameters. However, GPT-3 still has not reached the level of creativity to create literary ‘works’.
    Then, I examine what ability artificial intelligence needs in order to reach the level of creativity to create literary works. I argue that in order to have literary creativity, the ability to (re)construct and represent fictional work worlds, i.e., fictive imagining, is required, and elucidate the mechanism of fictive imagining through the ‘Possible World Box’ mod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