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이탈여성의 문화수용력 증진을 위한 무용교육 모형 연구 (The Development of Ethnographic Movement Program Model for Improving the Cultural Receptivity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0.12
21P 미리보기
북한이탈여성의 문화수용력 증진을 위한 무용교육 모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용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5권 / 65호 / 117 ~ 137페이지
    · 저자명 : 나경아, 박현정, 한석진

    초록

    북한이탈여성의 문화수용력을 높이기 위한 신체․심리정서․사회문화적 통합모형인 무용교육(EMP : Ethnographic Movement Program) 모형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형개발과정 속에서 검증할 수 있는 예비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모형을 완성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지원사업을 돕고 있는 정부 주관 혹은 민간 기관이 운영하는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북한이탈여성 40명과 기관담당자 20명에게 이들에게 필요한 무용교육 모형개발의 적합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연구 및 기관 현장조사연구, 비구조화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선정된 북한이탈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3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위의 절차를 통해 개발된 EMP모형은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평가의 단계로 구성된다. 교육목표로는 북한이탈여성들이 신체 움직임 활동을 통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반응하고 경험함으로써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며, 교육내용은 네 단계(신체 인지 → 심리 정서적 표현 → 사회문화적 이해 → 문화의 수용 및 적응)에 걸쳐 시행된다. 각 단계별로 주제에 맞는 수업 활동들이 다양하게 제공되며 수업 활동은 연령, 학습 수준, 학습 환경 등에 따라 선별, 통합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교육내용으로 첫 번째 단계인 ‘신체 인지’에서는 북한이탈여성들이 자신의 신체를 스스로 인지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긍정적인 몸으로 변화시키는 내용으로 구성되며, 두 번째 단계인 ‘심리정서적 표현’ 단계는 크게 과거에 대한 기억, 현재 나의 모습, 내가 그려보는 나의 미래 모습으로 나누어 구성되며,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공간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면서 욕구를 표출하면서 내가 몰랐던 새로운 자아를 발견해본다. 세 번째 ‘사회문화적 이해’ 단계에서 남한과 북한의 장단과 가락, 그에 맞는 기본 동작을 배워봄으로써 남북의 문화적 차이와 동질감을 교류하고 또한 현대 춤의 다양한 형태를 경험하면서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화를 접해보며, 마지막 단계로서 ‘문화의 수용 및 적응’은 수업을 통해 배웠던 것을 활용하여 작품을 구성하고 연습함으로써 다양한 움직임이 자신 신체 안에 충분히 담아내도록 한다. 교육평가로는 각 수업 전후로 신체적 효과, 심리정서적 효과, 사회문화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 반구조화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EMP 모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모형개발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12명의 북한이탈여성을 선별하여 EMP 모형을 축소한 총 3차시의 시강을 적용하였다. 신체적 효과의 검증은 시강 전 후,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맥박을 측정하여 정량화된 자료로서 분석하였다. 각 차시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과 유사하게, 정적인 움직임이 주를 이룬 1차시 시강에서는 혈압과 맥박이 수업 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적인 움직임과 빠른 템포의 동작으로 구성된 동시대적 춤을 배우는 3차시 시강에서는 혈압과 맥박이 수업 후 증가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러나 2차시 시강에서는 정적인 움직임과 동적인 움직임이 적절히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업 전 후 혈압과 맥박에서 뚜렷한 변화 양상을 발견할 수는 없었으며, 각 차시의 시강을 통해 신체 및 심리의 활성화가 일어난 정도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devise EMP(Ethnographic Movement Program) model, which can improve the ability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to adapt themselves to sociocultural environments in South Korea. It verifies the effect of the EMP model through educating them. In order to achieve the aim,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who currently have educational experiences in public or private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s of North Korean refugees, the research conducts a semi-structure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hich are intended to examine the abilities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to participate in dance activitie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views, the survey result,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 argue that the devised EMP model has four parts (physical awareness, psychological/ emotional expression, sociocultural awareness,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 assimilation). This EMP model was undertaken by the participants through three times of dance classes. Each dance class has particular educational objectives and emphasis of the development of the physical, psychological, sociocultural factors of the EMP mode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dance education practices, each factors of the EMP model do not quantitatively reveal significant changes. However, depending o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classes, the meaningful figure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emerge after educa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