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연옥 희곡의 신화적 상상력과 해체적 신화쓰기 (Mythical Imagination and Deconstructive Myth Re-writing in Go, Yeon-Ok's Play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7.02
40P 미리보기
고연옥 희곡의 신화적 상상력과 해체적 신화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51호 / 149 ~ 188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고연옥의 신화 다시쓰기 방식은 신화의 사유나 상징체계를 수용하면서도 신화의 서사나 인물, 의미구조를 현대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재해석하여 현재적 의미와 가치를 가진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낸다. 특히 고연옥은 신화를 형이상학적이고 철학적 탐구를 위한 것만이 아닌 현대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한다. <지하생활자들> <내일은 강> <칼집 속에 아버지>를 관통하는 기본 정신은 자본주의 시스템의 물질만능주의와 인간성 타락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다. 고연옥의 신화 다시쓰기가 다른 작가들과 구별되는 특성은 ‘영웅의 여행’ 서사구조를 취한다는 점, 현대의 사회문제를 응축한 환상적인 서사, 알레고리적 시공간, 모호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하생활자들>이나 <칼집 속에 아버지>는 전체 서사를 꿈 구조로 구성하여 환상성과 무의식의 원형이미지들을 표현한다. 또 삶과 죽음의 순환, 꿈과 현실의 상동성이라는 형이상학적 사유를 담아내는 동시에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 물신 숭배, 인간성의 타락을 그려낸다.
    <내일은 강>은 원천강 본풀이 신화를 소재로, ‘영웅의 여행’ 서사를 수용하지만, 핵심 주제나 인물들을 생태주의적 사유를 기반으로 재창조한다. 4대강 사업 같은 자본주의 논리에 치중한 개발주의가 생태위기를 가져온 오늘의 현실을 제시하면서, 우주의 모든 존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생태주의적 사유를 담아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ology and meaning structure of mythology re - writing in the plays of Go, Yeon-Ok. The playwright who has been steadily exploring the problem of salvation, the problem of evil, the contradiction of human nature and society has recently expanded the world of the drama into a more fundamental and universal world by utilizing mythical material and motifs.
    Her method of rewriting mythology is not the level of translation that translates the story of myth into the story of our time, but creates new forms and contents by dismantling the plot or form of myth.
    It is to dissolve and reinterpret mythical narrative, characters, and meaning structure in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 while accepting mythical thought or symbolic system to create a new myth with current meaning and value.
    For that reason, her re-writing of the deconstructed myth is a creation of a living myth that has the current meaning and is a re-creation of an allegory mirror that reflects modern society.
    Her rewriting tak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hero's journey", the universal structure of the hero myth, but dismantles mythical narratives and rewrites them into fantasy narratives condensed with modern social problems. The most prominent feature is the acceptance of the mythical imagination and thought of the mythical fantasy, the homology of dream and myth, the circularity of beginning and end, and organic cosmology.
    Underground Living People and Father in the Sheath express the fantasy and the archtype images of unconsciousness by composing the entire narrative into a dream structure. They also depict the metaphysical thinking of the circulation of life and death, dream and reality, as well as the human nature and contradictions of society that continue evil. In Underground Living People she depicts the crowd choosing evil without guilt consciousness, and in Father in the Sheath she presents a counter-myth in which the evil of the world is constantly produced by the material desire of the vested interests. The hero of the myth returns with the salvation of the world, but in her plays the evil of the world is a system that is so solid that it is returning the hero who is bound to fail.
    Tomorrow I'm River represents ecologicalist thought that all existence of the universe is organically connected. Thus, the mythical plays of Go, Yeon-Ok's show the aesthetics of acceptance and cre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