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인화에 나타난 儒家와 道家의 상대적 영향력 (Intercross Influence of Confucianist and Taoist Presented in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7.02
20P 미리보기
문인화에 나타난 儒家와 道家의 상대적 영향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34호 / 191 ~ 210페이지
    · 저자명 : 박서령

    초록

    본 논문은 문인화는 知性과 人性의 수양을 궁극목적으로 하는 ‘필묵화(筆墨畵)의 정신적 훈련’라는 관점에서 ‘道를 구현하는 방법, 나의 존재하는 방법, 나를 수양하는 방법’으로 분류하여 문인화에 나타난 유가와 도가의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유가와 도가의 철학은 문인화의 도덕수양심미의 배경이 되는 중심사상이다. 한편 유가와 도가는 유위 對 무위, 집단성 對 개체성, 채움 對 비움의 상대적 개념으로서, 그 내용은 윤리와 순리, 바로잡기와 버리기, 성실함과 고요함 등의 개념으로 수양방법의 차이를 보였지만, 문인화에서는 이러한 상대적 개념이 수용되어 자기수양적인 필묵화의 정신적 훈련으로서 필묵의 숙련성으로 성취되었다. 성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를 구현하는 방법에서는 ‘유위 적이면서 무위적인 훈련된 자율성’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둘째, 나의 존재하는 방법에서는 ‘본질로 파악된 나다움’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셋째, 나를 수양하는 방법에서는 ‘극치로 운용된 창조성’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성취되었다. 또한 유가와 도가의 상대적 개념은 상대적 특징의 그림양식으로 나타났는데 유가적 문인화는 유한한 범위 안에서 의도적으로 드러내는 ‘규범성의 자연(道)’을 구현하고자 하였다면, 도가적 문인화는 무한 감으로 생겨지는 대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다양성의 자연(道)’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정리하면, 문인화는 필묵을 통한 시각적으로 구현된 정신적 표상 안에서 참된 인간다움의 창조성 즉 道의 구현을 위한 ‘도덕적 관념화’로 표출되었고, 이러한 도덕적 심미의 동기는 필묵화의 정신적 훈련으로 귀결되어 도가의 자연성, 개성, 허의 개념이 유가적인 숙련성, 나다움, 지적가치의 필묵의 숙련성으로 성취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intercross influence of Confucianist and Taoist presented in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by categorizing into the way to realize the Tao, the way for oneself to exist, and the way to train oneself from the viewpoint that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is ‘the spiritual training by brush and ink paintings’ with the ultimate goal of cultivating intellectuality and humanity.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belows.
    Firstly, the way to realize the Tao is presented by ‘wei, doing’ vs ‘wu wei, not-doing.’ In this regard,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achieves the proficiency of brush and ink as disciplined autonomy derived from the moral belief conflating the ideas of doing and not-doing. Secondly, the way of self-existence is presented either by collectivity or individuality.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toward these ideas helps to obtain the proficiency of brush and ink as being essential oneself. Thirdly, the way of self discipline is presented by either filling or emptying. In this regard,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helps to realize the proficiency of brush and ink for ultimately managed creativity.
    In summary, the Confucianist is the normative tao which intentionally reveals within the finite circle, while the Taoist is the varied tao which naturally expresses itself in its infinite natural form. In the meantime, the literary artist paintings are expressed as the moral intellectualization to materialize the tao, the creation of truthful human nature, through equating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rush and ink, the visual forming of brush and ink, with the philosophical acknowledgement of Confucianism and Tao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