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시 읽는 『프랑켄슈타인』- “모던 프로메테우스”와 여성의 생명 창조력 - (Reading Frankenstein in terms of “Modern Prometheus” and the Female Creative Powe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4.02
33P 미리보기
다시 읽는 『프랑켄슈타인』- “모던 프로메테우스”와 여성의 생명 창조력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1권 / 1호 / 117 ~ 149페이지
    · 저자명 : 손현주

    초록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 모던 프로메테우스 는 서구 문명이 산업사회로 접어들던 시기에 탄생한 현대의 악몽이다. 본 논문은 이소설의 부제인 “모던 프로메테우스”에 초점을 맞추어 읽어보려한다.
    낭만주의 시인들은 프로메테우스를 사회적 정신적 자유를 위해 투쟁하는 불굴의 인간정신과 무한한 상상력의 상징으로 삼았다. 그렇다면 과연 셸리가 제시하는 모던 프로메테우스는 어떤 인물인가? 소설 속 프랑켄슈타인은 과학과 지성의 힘으로 실험실에서 인간을 창조하려 시도하고 반면에 여성 셸리는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글쓰기, 그것도 과학적 지식에 입각한 공상과학소설을 시도한다. 전통적인 성 역할을 전복시킴으로써 셸리는 폴 영퀴스트가 지적했듯이, 자신의 어머니이자여성운동의 선구자였던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권리 옹호”에 이은 “여성의 상상력 옹호”를 주창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흥미롭게도 셸리는 프랑켄슈타인의 생명창조과정을 당시 부인과의학서의 임신 출산에 대한 담론의 언어를 빌어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자신이 경험한 임신과 출산을 둘러싼 자전적 요소들과 함께 작품전체를 아우르는 셸리 특유의 언어를 지지해주는 틀을 구성한다. 본 논문은 18세기 당시의 임신 출산과 관련된 산부인과 관련 담론들을 살펴보고, 셸리가 프랑켄슈타인의 인간창조과정을 묘사하는데 이러한 언어를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검토해 본다.
    그리고 18세기 영국의 임신과 출산에 관한 의학적 담론을 바탕으로 당시 사회의 임신 출산에 관한 시각을 알아보고, 그러한 시각을 통해 프랑켄슈타인의 프로메테우스적 과업과 셸리 자신의 소설 창작과정을함께 조명하여 셸리가 생각했던 “모던 프로메테우스”의 모습을 찾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Mary Shelley’s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is a depictionof a haunting nightmare of Western civilization since the dawn of themodern industrial society. This paper will be reading the novel, focusedon its subtitle, “The Modern Prometheus.”Invoking the myth of Prometheus who was taken for the symbol for theunvanquished human willpower and the overreaching pursuit beyond thehuman limitations by Romantic poets, Shelley asks us what the ModernPrometheus should be. By assigning to a man the job of creating life withthe supreme knowledge while to herself that of giving birth to a book insteadof a child, Shelley subverts the established gender roles. As a resultVictor Frankenstein ended up creating a monstrous creature who eventuallydestroyed its creator and itself, while Shelley succeeded in writingthe novel, Frankenstein, which Paul Youngquist calls “a Vindication to theImagination of Women,” a sequel to her mother, Mary Wollstonecraft’s“The Vindication to the Right of Women.”The novel is about giving birth, which is a power unique to the womanand the core of nature’s secret and the goal of Frankenstein’s aspiration.
    In this nightmarish story, Shelley tries to demolish and deconstruct the binaryoppositions between masculine and feminine, life and death, and civilizationand nature. The birth of the monster is the first step to our recognitionof the problems involving the exploitation of the nature in the nameof science and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