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공예(濟州工藝)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예자원 조사 (A Survey on Craft Resource for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Craft of Jeju)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8.09
15P 미리보기
제주공예(濟州工藝)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예자원 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4권 / 3호 / 371 ~ 385페이지
    · 저자명 : 오창윤

    초록

    본 연구는 제주 공예자원에 대한 개념설정과 분류를 하고, 공예자원 및 공예인 현황조사를 통해 제주공예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의 제주 공예자원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새로운 공예문화 창출의 출발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제주 공예자원 조사는 현재, 제주의 공예, 공예공방, 공예인 등 구체적인 공예자원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파악해보는 의미 있고 기본적인 과정이다. 그동안이와 같은 조사 및 연구과정이 없었고, 공예자원들이소규모 형태로 제주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쉽지않는 과정이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공예자원의개념과 특성, 공예분류의 유형과 요소들을 탐색하였다.
    둘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검색주제 설정과 검색과정을 거쳐 제주 공예자원의 개념설정과 분류를 한 후공예자원을 조사하였다. 분류는 공예상품이 판매되는곳, 공예 관련 전시 공간, 공예공방, 공예 관련 축제, 공예를 이용한 공공미술 프로젝트, 스토리텔링을 통해운영되고 있는 체험길, 새로운 형태의 공예 공간으로구분하였다. 또한 조사결과를 유형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위치 맵(Map)으로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제주의공예자원은 제주 전체에 걸쳐 전통개념의 공예자원외에 새로운 형태의 자원들이 최근 생겨나고 있었고,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원조사에서 나온 결과와 제주의 특수성, 산업구조의 이해 등을 바탕으로 공예자원의 클러스터(Cluster) 구축, 코스관광 상품 개발, 3차 산업과6차 산업과의 융합된 방향성 모색, 최근 트렌드(Trend)를 반영한 마케팅 전략, 지속 가능한 공예축제(Jeju Craft Week)의 개최라는 제주공예 경쟁력강화방안을 제언하여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d classify conceptions of resources for craft of Jeju and suggest ways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craft of Jeju by conducting a survey on a current state of craft resources and craft artists in the region.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resources of craft of Jeju can be a starting point to create a new culture of craft. In this sense, a survey on the resources is a significant and basic proces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craft art of Jeju and recognize specifically what resources for craft, such as craft studios and craft artists, the region has. To date, such survey or study has not been carried out, and craft resources were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Jeju in small scales, making the survey difficult.
    First, conceptions, characteristics, types and factors of classification of crafts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study.
    Next, based on the study of literature, conceptions of craft of Jeju are established and classified by setting research topics and processes, and a survey on resources for craft was conducted. The craft of Jeju was classified into places where they are sold, places where they are exhibited, studios, craft festivals, public art projects involving craft, trails with storytelling, and a new type of craft space. Also the survey resul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s and created as a map.
    Along with traditional craft art resources throughout Jeju, new types of the resources have recently been emerging, and the region turns out to hold a variety of resources.
    Lastly, this study suggests various ways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craft of Jeju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understating of uniqueness of and industrial structures of Jeju, including establishment of a cluster for craft art resources,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seeking for convergence of the tertiary sector and the senary industry, marketing strategies reflecting the recent trend, and sustainable craft festivals (Jeju Craft Wee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