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예사 방법론의 성찰과 다문화적 상상력 (Examination of Methodology for History of Craft and Multicultural Imaginati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7.09
24P 미리보기
공예사 방법론의 성찰과 다문화적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5권 / 295호 / 207 ~ 230페이지
    · 저자명 : 최공호

    초록

    다문화주의(milticulturalism)는 본디 근대기의 국경 변동과 빈번해진 인구 이동에 따라 생긴 정책용어에서 비롯하였다. 근대 이후의 국제관계가 여러 형태의 문화 교섭과 혼효, 디아스포라를 초래하였고, 더불어 소수민족의 문화 정체성이 사회 통합을 위한 시급한 의제로 떠오른 것도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다문화주의의 논점은, 중심과 주변을 구분 짓고 서열화하는 것이 약자의 문화에 대해 정당한 평가를 방해하는 요인임을 인식하는데서 출발한다.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지 오래인 한국의 현실을 고려하더라도, 그동안의 단문화적(monoculturalism) 사유의 틀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특수성과 차이를 드러내는데 몰두하는 이상 그 궁극은 분열과 대결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을뿐더러 새로운 현상을 담기도 어렵다. 따라서 다문화적 상상력을 통해 모든 문화적 성취를 대등하게 놓고 보편적 가치를 찾아내는 것은, 문화의 참다운 가치를 확인하고 나아가 인류 공동선의실현을 향한 소중한 첫걸음이 된다. 다문화주의 연구방법론에서 가장 주목할 핵심은, 부당한 차별을 극복하여 실체적 진실에 한 발 다가가는 유효한 대안인 동시에 ‘차이’보다 ‘같음’을 드러내어 인류보편의 가치 확장에 기여하려는 노력이다.
    공예사의 다문화적 접근은, 그동안의 견고한 단문화적 관성과 연구방법의 결핍을 벗어나기 위해 더욱 긴요하다고 본다. 공예는 우리 삶의 여러 층위 가운데 매우 넓은 범주의 문화 전형을 구성한다. 모든 인종에게 제각기의 방식으로 존재해온 터라 대표적인 시공간의 보편적 속성을 지닌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하나의 기물 형식에는 다채로운 외래문화의 요소와 문명교류 이전의 인류 보편적 속성이 함께 응축되어 있다고 본다. 이 두 가지가 모두 보편적 가치의 지향과 수렴되는 점이 흥미롭다.
    필자는 다문화주의의 복잡한 이론체계에 얽매이지 않고, 차이보다 같음의 가치를 확장하는데 주력하는 연구의 지향에 더 관심이 있다. 이를 공예사의 기형 분석에 접목하면 인류 보편의 지혜에 기초한 시원적 보편성의 문제와 만나게 된다. 시원적 보편성은 문화교섭 이전의 본능적 지혜의 발현이다. 주류와 비주류, 중심과 주변의 경계를 넘어 민족과 지역을 포월하는 문화적 성취 내부에 원초적으로 존재하는 보편적요소가 반드시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다. 보편적 특질을 찾아내는 작업은, 자국의 이해에서 자유롭지 못한나머지 차이와 대립의 강화에 동원되어온 한계를 넘어 인류보편의 가치를 향한 시선 그 자체로서 일정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공예사에 적용할 다문화적 관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공예품의 역사적 층위에 다문화적 요소가 켜켜이 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문화 교류 이전의 인류 보편적 지혜의소산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일이다. 이 두 가지는 모두 특수성보다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목표를 공유한다. 다만 대외교섭의 결과를 그동안의 관성대로 자국의 정체성을 드높일 목적으로 활용한다면, 문화다양성을 통해 단문화주의의 과거로 돌리는 격이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공예품에 담긴 문화요소의 구성은 결국 단문화적인 경우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정한역사적 경험을 쌓아온 집단에서 어떤 기물을 만들어 쓰기 시작하면, 시간의 축을 따라 반복하여 재현하는과정에서 개입된 새로운 문화요소가 켜켜이 축적되어 다음 세대로 전수되는 사이클이다. 외부와 접촉할 기회가 많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다문화적 요소가 더 강하고, 기본 쓰임에 충실한 오래된 도구일수록 시원적보편성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다문화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가장 요긴한 대상이 바로 일상의 기물인 셈이다.

    영어초록

    Multiculturalism originated from a policy term generated with change of borders and frequent population movements in modern era. It also serv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caused various types of cultural negotiations, mix and diaspora in modern time and that cultural identities of ethnic minorities have emerged as an urgent agenda for social integration. The point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starts from recognizing that to divide and rank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s a factor which interrupts proper evaluation on the weak’s culture.
    Considering reality of Korea that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quite a while ago, concentrating on revealing distinctiveness and difference would be very likely to end up with division and confrontation. Thus, it is a meaningful first step for identifying true values of culture and further, for realizing human’s common good to put every cultural achievement on equal terms and to find universal values through multicultural imagination. The core that research methodology of multiculturalism should focus on the most is efforts to make contributions to expanding universal values by revealing ‘sameness’ rather than ‘difference’ along with an alternative to overcome unfair discrimination.
    Multicultural approach to history of craft is more important to overcome inertia of the firm, monocultural awareness and problems in research methods. Among various levels of our lives, crafting consists of cultural model with the broadest category. As it has been there to every ethnic group in its own way, it is also relevant with having representative universal attributes of time and space. Diverse elements from foreign culture and universal attributes before exchange of civilization are condensed in an object’s form. It is interesting that these two converge on orientation towards universal values.
    I am more interested in orientation towards multiculturalism that focuses on expanding values of sameness rather than difference without being restrained by complex theoretical system of multiculturalism. Grafting this onto object’s structure analysis in history of craft, we come to see an issue of originary universality based on universal wisdom. Originary universality is manifestation of instinctive wisdom prior to cultural negotiations. It is thought that cultural achievements that transcend ethnic groups and regions beyond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center and periphery must have universal elements basically within.
    Work to find universal features has a certain significance in itself as an attempt to overcome limitations of monoculturalism mobilized for reinforcing difference and confrontation due to obsession with one’s own country’s self-interest and to seek universal values beyond borders.
    There are two multicultural perspectives that can be applied to history of craft. The one is to clarify that different cultural elements are in most of craftwork and the other is to find universal elements before cultural exchange. These two share a goal in that they both aim for universal values rather than distinctiveness. However, if the results of international negotiations are utilized for a purpose of increasing one’s own country’s identity as done till now, careful attention is needed because it goes rather back to the past of monoculturalism through cultural diversit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tructure of cultural elements put in craftwork is rarely monocultural. When a group with certain historical experience accumulated starts to make and uses an object, new cultural elements are piled up from a process of repeated reproduction over time and at the same time, multicultural experiences are accumulated and inherited to the next generation, which makes a cycle. More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the outside over time lead to stronger multicultural elements and an old tool faithful to its original use tends to approach originary universality. Therefore, one of the most powerful instruments stimulating multicultural imagination is everyday o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