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동엽 문학에 나타난 분단 극복의 상상력 연구 (The Imagination of Overcoming Division in Shin Dong-yeop’s Work)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4.09
38P 미리보기
신동엽 문학에 나타난 분단 극복의 상상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7권 / 3호 / 281 ~ 318페이지
    · 저자명 : 차성환

    초록

    신동엽은 1960년대 한반도의 분단 상황에서 통일 조국에 대한 ‘유토피아적 지향’을 드러낸다. 신동엽은 1950년대에 유토피아적 열망으로 충만했지만 이를 현실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역사의식과 이론적 토대가 부재했다. 그러나 1960년대 동학과 아나키즘의 사상적 전유를 통해 자신만의 역사관과 ‘전경인’ 개념을 획득했으며 결정적으로 중립화통일이라는 구체적 유토피아의 전망을 확보한다.
    블로흐는 막연한 열망으로서의 ‘추상적 유토피아’가 가진 퇴행적 요소들을 제거하고 그것이 품은 유토피아적 열망을 긍정하면서 ‘구체적 유토피아’로 나아갈 것을 요청한다. 신동엽에게는 그 ‘구체적 유토피아’를 가능하게 하는 최초의 땅이 ‘정전지구’로 나타난다.
    신동엽은 ‘씨앗’이란 비유와 함께 씨앗을 심고 밭을 일구는 ‘전경인’이란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신동엽의 역사관에서 부정한 현실인 ‘차수성’의 땅에 누워서 유토피아로서의 ‘귀수성’을 꿈꾸는 ‘씨앗’은 블로흐가 말한 ‘아직 아닌-존재의 존재론(Ontologie des Noch-Seins)’의 지위를 갖는다.
    그의 산문 「시인정신론」에서 ‘전경인’과 ‘씨앗’은 유토피아를 향한 혁명의 출발점인 ‘아직-아닌 존재의 존재론’을 지향한다. 이 ‘씨앗’이 심겨질 장소는 바로 ‘중립 지대’(비무장지대)이다.
    신동엽은 1960년 4ㆍ19혁명이라는 결정적 경험 이후에 고양된 역사의식을 가지게 되고 1950년대에 보이던 추상적 유토피아와 결별하고 구체적 유토피아를 추구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신동엽에게 중립화통일은 유토피아적 사유에 기반한 ‘의식된 희망’(구체적 유토피아)의 최종 종착지이자 역사의 마지막 혁명이다.

    영어초록

    In the 1960s,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Shin Dong-yeop revealed his “Utopian orientation” for a unified homeland. While Shin was full of utopian aspirations in the 1950s, he lack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oretical basis to plan them realistically. However, through the ideological appropriation of dynamics and anarchism in the 1960s, he developed his ow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oncept of the “foreground man,” and importantly, he secured a vision of a concrete utopia centered on neutralization and unification.
    Bloch asked for the removal of the degenerative elements of the “abstract utopia”—a vague aspiration—and advocated for moving toward a “concrete utopia” while affirming its utopian aspirations. For Shin Dong-yeop, the first land that enables a “concrete utopia” appears as the “static electrical zone.” Along with the metaphor of a “seed,” Shin Dong-yeop presents the concept of “foreigners” who plant seeds and cultivate fields. The “seed,” which lies on the ground of the “next generation,”—a negative reality in Shin Dong-yeop’s view of history—dreams of “heritance” as a utopia, has the status of Bloch’s “Ontologie des Noch-Seins.” In his prose work “The Poet Spirit,” “the foreground” and “seed” aim for “the ontology of existence that is not yet-to-be,” the starting point of the revolution toward utopia. The place where this “seed” will be planted is the “neutral zone” (unarmed zone).
    After the decisive experience of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Shin Dong yeop developed an elevated historical consciousness, breaking away from his abstract utopia of the 1950s and moving toward the pursuit of a concrete utopia. In other words, for Shin Dong-yeop, neutralization and unification are the final destination of “conscious hope” (concrete utopia) based on utopian thinking, and the final revolution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