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림별곡>의 맥락과 유선(儒仙)의 상상력 (The Context of Hallim Byeolgok 翰林別曲 and Imagination of Yuseon 儒仙)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2.01
44P 미리보기
&lt;한림별곡&gt;의 맥락과 유선(儒仙)의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55권 / 47 ~ 90페이지
    · 저자명 : 임주탁

    초록

    이 글은 <한림별곡>이 그려낸 형상이 무엇인지, 왜 그런 형상을 그려내었는지 문자 텍스트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따져본 것이다. <한림별곡>은 가시적인 텍스트 형식이 독특해서 많은 논란이 되어왔다. 하지만 텍스트가 그려내는 형상들이 전체적으로 어떤 세계를 그리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한림제유(翰林諸儒)가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인데도 ‘한림(翰林)’의 성격과 역할 등에 주목하지 않았다는 점도 중요한 원인이라 생각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당나라에서 제도화된 한림원의 성격과 역할을 먼저 논의했다. 한림은 선진(先秦) 시대 이후 종주(宗周)를 넘어 당우(唐虞) 시대를 재현하고자 한 역대 제왕과 학자들이 만들어낸 유선(儒仙) 형상이 제도화된 이후에 널리 쓰인 이름이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漢)‧당(唐)‧송(宋)의 제왕(帝王)들이 한림의 보좌를 받으며 치란(治亂)을 통해 태평한 시대를 열어가고자 했던 것과 흡사하게 고려 고종 또한 당대 한림들의 보좌를 받아 고성(古聖)의 꿈이기도 했던 태평한 시대를 열어가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림별곡>은 한림학사 금의(琴儀)의 문생들이 한림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 고종 연간 말기에 그들에 의해 만들어진 방상(坊廂)의 가곡이었으리라 추론하였다. 그러한 맥락에서 언어 텍스트에 그려진 물상(物象)과 물사(物事)가 전체적으로 그리는 세계가, 제왕을 도와 난세를 치세로 바꾸어 태평한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되는 선유(先儒)들이 꿈꾸었던 세계와 다를 바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림별곡> 텍스트는 그 꿈을 이루는 주체, 방법과 절차, 결과적으로 이루어진 태평한 시대를 그려낸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한림별곡>의 바탕이 된 상상력은 유선(儒仙)의 상상력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analyzes and examines what the shape of Hallim Byeolgok (翰林別曲) is and why it was drawn, focusing on the visual text. Hallim Byeolgok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of its unique visual text format.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discussion about what kind of world the figures depicted in the text represent as a whole.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but this essay considers that it is an essential cause that the character and role of ‘Hallim’ (Hanlin) were not paid attention to even though it was ‘Hallim’ Byeolgok made by ‘Hallym’. Hallim was a widely used since it became an institutionalized name of Yuseon 儒仙 which referred to the scholar who was embodyed by Confucianism and Taoism and awaken with the truth that prevailed throughout the contemporary world, created by successive emperors and scholars who wanted to go back to like the world of the Tangyu 唐虞 era beyond the period of Zhou 周 dynasty after Qin 秦 Empire. Based on this discussion, it is confirmed that King Gojong 高宗 wanted to usher in an era of peacefulness, which was also the dream of an ancient saint, with the help of Hallim of the time, just as the kings of the Han 漢, Tang 唐, and Song 宋 dynasties tried to do through terminating unruly period. And it was inferred that Hallim Byeolgok was probably one of the repertories of Bangsang 坊廂, music bands or organizations in charge of transmitting and performing Sogak 俗樂 (folk music) of the Goryeo 高麗, made by Hallim who were selected by Geumhaksa 琴學士 (Geum Ui 琴儀) and played active parts of Hallim at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Gojong. In this contex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world depicted in the language texts as a whole and the world depicted by figures of things and affairs are no different from the world dreamed of by the former Confucians who had dreamt of opening a peaceful era by helping their monarchs and turning turbulent times into reign. The text of Hallim Byeolgok depicts the subject, method, and procedure of realizing that dream and the peaceful era that resulted in it. In that sense, the image that became the basis for making Hallim Byeolgok could be classified as the imagination of Yu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