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봉건 전후시에 나타난 생명에 관한 상상력 (Imagination about Life in Postwar Poems of Jeon Bong-ge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1.08
27P 미리보기
전봉건 전후시에 나타난 생명에 관한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5호 / 139 ~ 165페이지
    · 저자명 : 김인옥

    초록

    1950년대 한국 전후 시인들에게 있어서 전쟁체험은 일종의 원체험이며, 시창작의 직접적 매개가 되었다. 실향민이라는 점 이외에 등단 시인으로서 실제 전투에 참여했던 전봉건은 전쟁현실을 생생한 리얼리티로 시화하였다. 본고는 전봉건 전후시에 나타난 특성 중 생명에 관한 상상력을 근간으로 고찰하였는데 전쟁체험을 통한 생명의식은 전봉건만의 독자적 출발점에서 1950년대 전봉건 시세계를 관통하고 있다.
    전봉건의 전후시가 여타 전후시와 차별화되는 까닭은 성찰을 위한 자기 응시가 상상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적 본질에 관한 인식문제와 함께 휴머니즘의 당위성에 치우치지 않는 전쟁 후 추구했던 이미지 세계는 전봉건의 문학적 상상력을 밝히는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문학적 상상력의 근원인 내면화된 생명의식의 존재 발현을 위해 전봉건은 이미지의 실체를 세계 내 존재 안에서 밝혀내고 있다.
    전봉건에게 생명 이미지는 수사적 제시가 아니라 합리적 자아를 해체하여 보다 근원적인 사유의 영역으로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생명 이미지 사유를 통한 새로운 존재 방식의 가능은 그것이 자아 정립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그의 이미지 사유는 억압적 전쟁상황 아래 삶의 욕망을 대상에 투사하고 이를 생명에 관한 상상력으로 구현하는 과정을 보인다. 본능적 충동을 맹목적으로 표출하거나 사회화된 의식을 기계적으로 답습하는 것과는 구별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의식의 상징 지향적 태도와 관련된다. 전봉건에게는 전쟁의 파괴된 내면 속에서 새로운 자아의 생명력을 찾아 소통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사유 과정인 셈이다.
    전봉건의 시적 상상력은 자신과 모든 인간들에게 삶의 이유와 생명의 가치 부여에 그 의미를 둔다. 죽음과 허무 속에 생명이 유기된 시대 속에서 자신을 살리고, 무의미하게 내던져진 생명을 구원하기 위해 현재의 가치를 회복해 낸다. 전쟁 현실 속 인간의 무력함과 삶의 본능적 실제를 생명에 관한 상상력으로 구원해냈다는 데 전봉건 전후시의 시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Korean postwar poems developed in 1950's cannot be imagined without any experiences in the Korean War (1950~1953). The Korean War was a sort of primordial experience and war experiences worked as a firsthand medium for Korean postwar poets. Jeon Bong-geon was a Korean postwar poet who was a displaced person from North Korean hometown to take the rostrum of South Korean literary world and participated as a South Korean soldier in actual battles of the Korean War. His war experiences turned into vivid reality of poems. This study examined Jeon's postwar poems primarily on the basis of imagination about life in terms of his poetic characteristics. Jeon's awareness of life based on war experiences runs through his poetry world in 1950's from his own original starting point.
    As for Jeon, the image of life is not any rhetoric presentation but suggests that it deconstructs a rational ego and really exists in the more fundamental sphere of thinking. A new way of existence is possible with thinking of life images, because such thinking contributes to establishment of ego. Jeon's thinking of images reveals a process of consciousness to project desires on any target under the oppressive situations and implement those desires with imagination. This process is differentiated from any blind expression of instinctive urge or any mechanical follow after socialized consciousness, and is ultimately associated with the symbol-oriented attitude of consciousness. As for Jeon, it means a process of thinking images with a view to seeking new vitality of ego even in one's inner world destroyed on battlefields.
    Jeon's poetic imagination has its implications in that it shows any reason and value of life to him and all other people. He opens a roadway of his life to poetry with a view to saving his being in the darkness of postwar period when life was abandoned in death and nihility and restoring current human values to save any life thrown meaninglessly on battlefields. Furthermore, Jeon's postwar poems have their own poetic implications in that they exerted the ability of imagination about life to redeem human being from helplessness in the cruel realities of war and restore the substance of instinct in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