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설화 다시쓰기와 새로운 상상력 (Rewriting Folktales and New Imagina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09.12
35P 미리보기
구비설화 다시쓰기와 새로운 상상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9호 / 1 ~ 35페이지
    · 저자명 : 신선희

    초록

    본고는 구비설화에 구현된 파격의 상상력과 INDE세대의 상상력의 소통가능성을 타진하고 그 방법을 모색한 글이다. 이를 위해 매체 변화와 INDE세대의 이야기 체험공간을 살폈다. 그 결과 ‘공유’와 ‘나눔’의 형태로 세분화되고 확장된 이야기판과 새로운 스토리텔러의 양상을 지적했다.
    필자는 설화가 지닌 개방성에 상상력을 불어넣고 다양한 시각의 재해석을 요하는 ‘틈새 스토리텔링’을 상정하고 설화의 원형적 심상과 이야기성의 활용을 시도했다. 세계적 분포설화인 <뱀신랑 설화>와 <지하국대적퇴치담>이 지닌 파격적 요소에 담긴 의미 코드를 풀고 보편성을 획득하는 이야기 코드를 넣는 작업을 예시했다.
    사랑과 상생의 이야기 코드를 넣어 ‘낯섬’을 ‘익숙함’으로, ‘대결’을 ‘공존과 상생’ 구도로 전환하고 탈경계적 시각으로 자신의 문화 체험을 수용한 인디세대의 상상력에서 이야기문학의 미래와 방향을 살폈다.
    INDE세대의 문화적 창조력은 구비설화의 우연성과 기이함을 삶이 지닌 필연성과 보편성으로 진지하게 구현한 원동력이며, 이항대립의 단순도식의 통념을 깬 파격이었다. 또 이들의 공간 확장과 이동의 상상력은 현실과 비현실, 초현실 세계를 넘나드는 설화의 공간을 시청각적으로 재현했을 뿐만 아니라 선과 악이 소통하는 통로와 중간세계를 만들어냈다.
    구비설화의 상상력이 구현한 형상과 세계는 ‘틈새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기술에 의해 ‘공유하는 생명체’로 거듭날 수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thesis tries to gauge the possibilities and ways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exceptional imaginations embodied in folktales and the new imaginations of the INDE generations. For this, I study the changes in media and the story telling environments of the INDE generations. And I find the story telling environments are broken down into ‘public owned’ and ‘subdivision’ and then they are expanded into new environments and storytellers.
    Assuming a ‘Niche Storytelling’ that inspires new imaginations into the openness of the folktales and demands reinterpretations of the various view points, I try to utilize the archetypal images and stories of folktales. The worldwide known Search for the Lost Husband and The Dragon Slayer are illustrated to solve the codes inside the exceptional elements and converted into universal codes.
    By adding ‘love’ and ‘win-win’ codes, I converted the ‘strange’ into ‘familiarity’ and ‘confrontation’ into ‘coexistence and win-win’, and try to find out the future of the storytelling literature from the view point of the INDE generations who accepts their cultural experiences borderlessly.
    The cultural imaginations of the INDE generations are the motive powers that materialize the contingencies and fantasies of the folktales into inevitabilities and universalities. They can destroy the social common notions of simple diagram of binomial confrontation. Their imaginations of space expansions and transfer can recreate the unrealistic and surrealistic worlds of the folktales into visual and auditory worlds. And they can also create the mid-world that good and evil communicates.
    I think the world embodied in the folktales could born again as a ‘public owned creatures’ by means of ‘Niche Storytelling’ and digital technolog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