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국열차>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Mythological Imagination in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5.12
30P 미리보기
&lt;설국열차&gt;의 신화적 상상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1권 / 3호 / 205 ~ 234페이지
    · 저자명 : 임정식

    초록

    <설국열차>는 한국의 사회 현실보다 계급 차별이나 국가 시스템과 같은 인류 보편적인 문제를 다룬다. 결말에서는 현실과 대비되는 신화적인 미래상을 제시한다. 봉준호의 기존 영화세계와 차별화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설국열차>에 대한 신화적인 상상력과 세계관의 구체적인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설국열차>에 나타난 신화적인 요소는 세 가지로 정리된다. 1)순환과 반복, 2)종말과 재생, 3)인간과 자연(동물)의 공존이다. 순환과 반복은 열차의 원형 궤도 및 빙하기의 시작과 끝으로 설명된다. 열차 궤도는 북유럽신화의 반지 모티브와 유사하다. 종말과 재생은 라그나뢰크와 비교된다. 세계는 예정대로 종말을 맞지만, 그 종말이 완전한 파국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설국열차>의 요나와 티미는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상징한다. 인간과 자연(동물)의 공존은 원시신화와의 유사성으로 설명된다. 인간과 곰이 상호존중하며 공존하는 수평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돼 있다.
    봉준호 영화에 대한 논의는 주로 현실과의 관련성에 집중돼 왔다. 그래서 정치사회적 관점이나 시대 반영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은 봉준호 영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방법으로 <설국열차>의 신화분석을 시도했다. 앞으로 <마더>, <괴물>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 봉준호 영화의 신화적인 상상력과 세계관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film <Snowpiercer> deals with the general issues like the class discrimination or national system rather than the social issues of Korea. In the last part of the movie, the director suggests a mythological future in contrast with the reality. This is where <Snowpiercer> is different from his previous works. Therefore, the film is worth further detailed analysis on the mythological imagination and an ideal world system.
    The three mythological elements represented in <Snowpiercer> are, 1) Cycle and Repetition, 2) Death and Rebirth 3) Co-existence of humans and animals. Cycle and Repetition are portrayed in the image of circular track of train set against the start and the end of ice age. The circular track of the train is similar to the motif of ring in Northern European mythology. Death and Rebirth can be explained in Ragnarok. The whole world is doomed as scheduled but not completely. Yonah and Timmy are the symbols of the new beginning.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animals are the characteristic of primitive myth. The film aims at the equal co-existence of a human being and a bear. All these elements are interrelated in Moebius strip.
    So far, the films by director, Junho Bong, have been discussed focusing on his view of social issues and political value, and how his films have reflected such reality. It is necessary to put his film <Snowpiercer> in a new perspective with a new interpretation which is based on mythological analysis. Further studies on his films <Mother> or <Monster> may lead to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director’s mythological imagination and his view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