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칸트 철학에서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 - 보편과 특수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nd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in Kant’s Philosophy - In Viewpoint of Relation between Universal and Particular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6.03
24P 미리보기
칸트 철학에서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 - 보편과 특수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80권 / 1호 / 87 ~ 110페이지
    · 저자명 : 박수범

    초록

    우리 인간과 세계의 관계는 경험에서 이루어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험이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혹은 현재적이든 잠재적이든 어떠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따라서 칸트의 “판단력”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은, 판단을 통해 과연 우리 인간은 세계와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하고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배경을 갖는 본고는, 구체적으로는 칸트 철학에서의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는 규정적 판단력의 본령을 이루고 있는 곳은 인식판단이다. 하지만, 취미판단을 내리는 경우에는, 그러한 인식판단에서처럼 특수한 것을 포섭하기 위한 보편적인 것이 미리 주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보편적인 것을 찾아내기 위한 반성적 판단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얼핏 보기에,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하강하는 규정적 판단력은 인식의 영역에서, 그리고 특수로부터 보편으로 상승하는 반성적 판단력은 미(예술, 숭고)의 영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해석은, 위의 두 판단력을 각자 다른 영역에 한정된 무관한 것이라고 암묵적으로 전제한 뒤, 양자의 관계에 대하여 더 이상 파고들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본고는, 칸트가 규정적 판단력과 반성적 판단력을 구분하는 진의가, 양자는 각각 다른 영역에서 무관하게 활동하는 판단력이라는 점을 드러내려고 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다시 한 번 물음을 던져 보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규정적 판단력이 보편으로부터 특수로 실제로 하강할 경우에는, 반성적 판단력의 활동이 불가피함을 드러냄으로써, 판단력에 대한 칸트의 통찰을 읽어내고자 한다.

    영어초록

    We might say that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the world is composed of experience. We can also say that experience is judging a judgment whether the judging is mad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refore, considering Kant’s the power of judgment is associated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which deals with the manner how human being is related to the world.
    This paper which has above background will consider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concretely. The judgment of cognition which is thematize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is the main province of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to which the universal is already given. By contrast, In the case of judgment of taste, there is no universal to subsume the particular, so we nee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to find the universal.
    At first glance,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which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which ascends to the universal from the particular act independently; the former in the field of cognition, but the latter in the field of beautiful(art, sublime). I think that traditional interpretations did not dig into the relation between two powers of judgment because they generally had premised that two powers of judgment are irrelevant to each other and limited to different field.
    Once again, this paper throws the following question. Is the intention of Kant’s distinction between the determing power of judgment and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really means that two different powers of judgment act separately in different field? Through revealing that the activity of the reflecting power of judgment is necessary when the determining power of judgment actually descends to the particular from the universal, the auther attempts to read out Kant’s discernment about the power of judg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