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회화의 해학 속에 숨겨진 신분제도에 대한 풍자와 비판 -김명국의 <탐매도>·<기려도>와 전 윤두서의 <낙려도>를 중심으로- (Satire and Criticism on Status System Hidden in Humor of Joseon Period Paintings - Focused on and of Kim Myeongguk and 정 연경Younkyoung Cheung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12.02
18P 미리보기
조선시대 회화의 해학 속에 숨겨진 신분제도에 대한 풍자와 비판 -김명국의 &lt;탐매도&gt;·&lt;기려도&gt;와 전 윤두서의 &lt;낙려도&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3권 / 1호 / 409 ~ 426페이지
    · 저자명 : 정연경

    초록

    조선 중기 화원화가 김명국의 <탐매도>·<기려도>와 조선 후기 문인화가 전 윤두서의 <낙려도>는 조선 중·후기 신분제도의 확립과 동시에 그 제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서얼 및 중인 계층과 서민층의 반발과 시도로 모순과 혼란이 대두되던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표면적으로는 시동과 선비, 과객에 의해 흥미로운 장면이 연출되지만 웃음과 해학을 넘어서 풍자와 아이러니로 사회비판적 의식을 담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사회적, 제도적 문제점과 관련지어 연구되지 않았다. 명말 동기창의 영향으로 만권의 책을 읽어 학문적 소양과 지식을 쌓고 만리를 여행하여 이상과 체득한 경험을 조화시키고자 했던 사대부들의 이상은 조선 초기에 유입된 명대 초기 절파 화풍에 의해 배경이 축소되고 인물의 비중이 커진 소경산수인물화 계열의 '기려도' 류의 작품을 중기부터 등장시키게 된다. 이 작품들은 음중팔선의 도교적 주제와 무지몽매하고 예술적 아취에 무관심한 고정관념의 표상인 하층민을 등장시켜 비판의 칼날을 숨기지만, 사대부의 지성과 소양을 부각시키는듯하면서 허울과 명목뿐인 실상을 비웃고 이상정치 실현의 염원과 함께 신분제도의 모순과 비판을 은유하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신분제도의 변동이 그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과 요인을 연구하고 조영석, 김홍도, 신윤복 등의 생활에서 아취, 교양, 풍자, 유흥까지 여러 주제를 다룬 작품과 비교하여 공통점 및 차이를 분석하면서 해학의 이중성과 풍자, 사회 비판 요소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dmiring apricot blossoms> and <Riding on a donkey> of Kim Myeong-guk who is a court painters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and <Falling off a donkey> of the putative Yun Du-seo are paintings to show the situation symbolically that the status system was being built up, which the contradiction and confusion revealed by the resistance of middle class or the children of concubine in the period and their struggle for a better social status. The ideal of noblemen and governors in Joseon Dynasty, who already read ten thousand books from the affection of Tung Ch'i-ch'ang in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they were very learnt, moreover traveled abroad was to harmonize the ideal and their vivid experiences. It was a reason to present paintings like Riding a donkey affiliated with small landscape and figure painting that minimized the background and gave a weight to the figures by imported Zhepai style of painting in early Joseon.
    Although interesting scenes were directed by the composition with an errand boy, a classical scholar and a passenger in three paintings superficially, actually they contained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society as satire and irony beyond simple laughter and humor. In other words, they brought up a Taoistic subject like poets who loved liquors and drew benighted typical low class together, then accentuate the intelligence of noblemen and cleverly ridicule hollow reality tied with excessive formality and custom hiding the sharp criticism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ir critical sight about contradiction on the status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